정부가 올해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에 2조3천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안건을 확정했다.
산업부는 경제 안보를 실현하기 위해 소부장 R&D에 2조3천억원을 쏟겠다고 밝혔다.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개정해 소부장 범위에 광물 같은 원재료까지 포함한다.
산업부는 2024년까지 소부장 으뜸기업을 100개사로 늘릴 계획이다. 하반기 20개사 더 뽑는다. 지난해 22개사를 뽑고 올해 초 21개사를 더해 총 43개사를 지정했다.
소부장 으뜸기업이란 100대 핵심 전략 기술을 갖춘 소부장 기업이다. 산업부는 5년 동안 소부장 으뜸기업에 많게는 연간 50억원씩 기술 개발 지원금을 주기로 했다. 기술로 매출을 얻을 수 있도록 실증과 자문·인력도 제공한다. 수출 바우처와 해외 규격 인증 획득을 우대하고 해외 거점 구축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 반·디·친환경·기계 소부장 특화단지에 2000억 지원2022.02.16
-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탄소소재·정밀기계 특화단지 만든다2021.10.27
- 산업부, ‘소부장 으뜸기업’ 20개 더 뽑는다2021.09.26
- 산업부, 연내 5대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로드맵 수립2021.09.13
산업부는 소부장 특화단지에 2025년까지 1천993억원을 투입한다. 경기에 반도체, 전북에 탄소소재, 충북에 이차전지, 충남에 디스플레이, 경남에 정밀기계 특화단지가 있다. 기업 간 협력 R&D에 950억원, 개발한 기술을 시험하는 데 995억원을 지원한다. 재직자 교육에는 48억원을 쓴다. 특화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은 규제 특례를 받을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상 공정안전보고서(PSM) 심사 기간을 줄여준다. 양산 시설에 투자할 때 환경 관련 인·허가 기간도 단축한다.

산업부는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사업을 승인했다.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목적 기반 차량(PBV) 소재, 차량 이송 자율 주행 로봇용 광학 센서·부품, 곡면 디스플레이용 세라믹 잉크, 전력 반도체용 접착 소재 5건이다. 이들 사업에 통틀어 550억원을 지원한다. 공공 연구원 인력을 보내주고 특별 연장 근로를 허락한다. 환경 규제 관련 인·허가도 빠르게 처리한다. 수요-공급기업이 함께하면 중소기업이 역량을 키워 대기업에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2026년까지 900명의 고용 창출, 미래 시장 선점 등 효과를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