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이 IT인재를 구하기 어려운 시대일 수록 기업 인프라 운영에 있어 사람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클라우드 담당하는 핵심 직원이 나간다고 인프라 운영에 문제가 생기면 안되지 않나. 조직은 클라우드 운영에 대한 거버넌스를 세우고 자동화해야 한다."
하시코프코리아 김종덕 지사장은 최근 진행한 인터뷰에서 인프라 운영 자동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하시코프는 멀티 클라우드 솔루션 분야 글로벌 선도업체다. 특히 인프라 운영의 자동화를 지원하는 하시코프의 '테라폼'은 가장 널리 쓰이는 코드형 인프라(Infrastructure as Code·IaC) 도구로 사실상 이 부문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테라폼은 클라우드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운영하는 기본 인프라로 자리잡으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됐다.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과 관리가 그동안 수작업으로 이뤄졌는데, 이 작업이 매우 시간집약적이고 반복적이라 자동화 필요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김 지사장은 "모두 수작업으로 해야 했던 일을 테라폼을 쓰면 코드로 자동화할 수 있게 되면서 테라폼은 인프라 운영의 효율화와 자동화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잡았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들어 멀티클라우드 환경이 되면서 테라폼의 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는 게 김 지사장의 설명이다.
멀티클라우드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았다. 하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다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장애로 서비스가 먹통이 되는 문제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면서, 복수의 CSP를 동시에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 각 CSP마다 제공하는 기능이 달라, 특정 기능을 쓰기 위해 멀티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하기도 한다.
김 지사장은 "멀티클라우드는 이점이 많지만 관리가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아마존웹서비스(AWS), 애저, 구글클라우드를 다 학습하고 반복 작업해야 하는 부담도 생겼다"며 "테라폼은 뒷단에 어떤 클라우드가 있든지 신경 쓸 필요 없이, 앞단에서 코드로 각 클라우드의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테라폼은 퍼블릭 클라우드뿐 아니라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에도 적용 가능하다"며 "1천1700개 이상의 프로바이더가 테라폼과 API 호환을 맞추고 있어 기업 고객이 향후 어떤 인프라를 쓰더라도 호환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이 최근들어 인프라 운영 자동화에 관심을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IT인력난 때문이다. 모든 산업의 기업들이 디지털혁신을 추구하면서, IT인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최근 몇 년새 심화되고 있다. 이에 IT인력 몸값이 높아지면서 이직도 활발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지나치게 사람 의존적인 IT조직은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게 김 지사장의 견해다.
김 지사장은 "기업은 시스템에 의한 운영이 중요하다"며 "클라우드 담당하는 핵심 직원이 퇴사하더라도 그 공백을 채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테라폼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기업이 거버넌스에 따라 적합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 방식을 수립하고, 모든 기업 내 직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며 "엔터프라이즈 버전 테라폼으로 작업을 해왔으면, 이런 공백을 채우는 것이 훨씬 수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테라폼, 복잡한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자동화로 해결2021.04.27
- 게임빌-테라폼랙스, C2X 토큰 발행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 맞손2021.11.18
- 하시코프, 김종덕 신임 한국지사장 선임2021.10.12
- 신세계아이앤씨, 하시코프와 멀티 클라우드 시장 공략2021.04.08
하시코프는 클라우드 전환과 디지털혁신에 대한 수요가 큰 한국 시장에서도 올해 활발한 사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장은 "하시코프는 테라폼 이외에도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운영에 필요한 보안(볼트), 네트워킹(콘솔), 애플리케이션 배포(노마드) 툴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며 "한국도 민간과 공공에서 모두 클라우드 전환과 디지털혁신을 숙제로 안고 있는 만큼 이런 툴들을 사용을 하면 전환이 훨씬 수월하다는 점을 알리려고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