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선물택배 사칭 스미싱 주의하세요

지난해 설 택배 사칭 악용 스미싱 17만5천여 건 발생

방송/통신입력 :2022/01/20 12:0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설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 확인,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 등을 사칭한 스미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국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스미싱 신고 차단 20만2천여 건 가운데 설 명절 등 택배를 많이 주고받는 시기를 악용한 택배사칭 스미싱이 17만5천여 건으로 전체대비 87%를 차지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정부가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지원 사업을 사칭한 스미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각종 지원금 신청을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받지 않는다. 신분증과 같은 개인정보도 요구하지 않는다.

사진 = 이미지투데이

스미싱을 통해 전송된 문자내 인터넷주소(URL)을 클릭할 경우,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설치되고 악성앱을 통해 유출된 개인정보를 악용한 보이스피싱 사기 등 금전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용자가 스미싱 사기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보안수칙으로 ▲택배 조회, 모바일 상품권 증정, 정부 지원금 신청 등의 문자 속에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주소(URL) 또는 전화번호를 클릭하지 않고 바로 삭제하기 이벤트 당첨, 선물 배송 조회, 정부 지원금 신청 등의 명목으로 본인인증, 신분증 및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주지 않기 등이다.

또 ▲스마트폰 보안설정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업데이트 및 실시간 감시 상태 유지와 소액결제 차단 기능을 설정하기 ▲악성 앱 클릭 등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 118 신고 또는 ’내PC 돌보미‘ 서비스 신청을 통해 스마트폰 악성코드 유무 점검 받기 등도 지켜야 한다.

정부는 설 명절을 앞두고 관계 부처간의 협업을 통해  국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미싱 보이스피싱 주의문자 발송, 스미싱 모니터링 및 사이버 범죄 단속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설 연휴기간 동안 스미싱 유포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통 3사와 협력해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보이스피싱 주의문자’도 순차 발송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설 명절 기간 동안 금융업권과의 협조를 통해 각 고객들에게 코로나19 관련 손실보상금 또는 피해회복 특별대출 등을 빙자한 사기문자에 대해 각별히 유의하도록 안내하는 등 보이스피싱 예방홍보를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사이버범죄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인 ’사이버캅‘을 통해 예방 수칙과 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