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도 자원으로'…신종 세균 자원 민관 공동 관리방안 마련

국립생물자원관, 99% 미발굴 상태 세균 자원 체계적 관리

디지털경제입력 :2021/11/26 11:17    수정: 2021/11/26 12:49

400만여 종으로 추정되는 세균 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범부처-민간 전문가들이 공동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세균 자원은 의학·환경·식품·농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99%가 미발굴 상태다. 세계 학계에 기록된 세균 종수는 1만7천838종에 불과하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 세균 관리와 연구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6일 오후 서울 용산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민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술회를 개최한다.

학술회에는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원, 한국미생물학회 등 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코로나바이러스 PCR검사에 사용되는 효소의 기원인 써머스아쿠아티쿠스가 발견된 미국 옐로우스톤 고온열수구(왼쪽)와 써머스아쿠아티쿠스의 1969년 최초보고 사진

학술회는 최근 들어 세균 자원의 산업적인 활용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전 세계에서 신종 세균에 대한 연구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마련됐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1천종 이상 신종 세균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2009년부터 신종 발굴에 박차를 가해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400여 종의 신종 세균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까지 총 2천12종의 자생 신종을 발표했고 매년 100여 종 이상 신종을 보고하고 있다.

이날 학술회에서는 세계 학계에 우리나라 신종 세균을 인정받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 발표 절차와 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발견된 세균을 세계 학계에서 신종으로 인정받으려면 살아있는 균주를 서로 다른 국가에 소재한 기탁기관 최소 2곳에 기탁해야 하고 기탁기관은 학술적 목적의 다른 연구자에게 분양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금까지 해외 기탁기관에 맡겨진 우리나라 자생 신종 세균이 2천12종에 이르나 이후 분양 결과와 학술연구 결과가 추적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해외 기탁 전에 우리나라 책임기관에 신고하는 절차를 마련해 2022년 1월부터 시행하고, 기탁 기관에 보관된 자생 균주의 분양 정보, 연구 결과를 매년 연말에 자료를 공유할 계획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세균으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은 전체 생물 산업의 60%를 차지하며 시장 규모도 3천억 달러에 육박한다”면서 “이번 학술회에서 모은 세균 자원 발굴 개선안이 세균의 발굴을 촉진하고, 연구자에게는 신종 발굴의 선취권을 확보하는데 뒷받침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자생 원핵생물 발굴 및 관리방안 학술회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