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콘텐츠 재원·투자 늘려야...글로벌 OTT 종식 우려"

방송 저가화에 성장 발목...투자유인 감소에 미래도 불안정

방송/통신입력 :2021/11/18 16:29

국내 콘텐츠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유입 재원을 늘리고 민간의 제작 투자 확대를 유인하는 방안이 첫째 필수 조건으로 꼽혔다. 

국경이 없는 콘텐츠 영역에 글로벌은 대형화 추세로 경쟁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오히려 산업 내실이 취약해지고 투자 여력이 더욱 줄어든 상황에서 거듭 반복되는 지적이다.

천혜선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은 18일 열린 미디어리더스포럼에서 “글로벌 경재임화와 전통적인 수익원 위축, 콘텐츠 재투자여력 감소 등이 국내 방송 영상 콘텐츠 산업 생태계의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산업에 유입되는 재원을 늘려 안정적인 성장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민간의 제작투자 확대를 통해 글로벌 OTT에 대응한 콘텐츠 중심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영상콘텐츠산업은 실제 주요선진국에 비해 산업활성화 정도가 미흡한 편이다. 2019년 기준으로 GDP 대비 콘텐츠 산업의 부가가치액 비중은 2.5% 수준에 그친다. 같은 기간 미국의 6.4%에 한참 모자란다.

또 방송의 저가화 현상은 콘텐츠 산업 성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내 유료방송이 가입자에 받는 낮은 수준의 시청료는 방송 산업 전체에서 재원의 순환을 가로막는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를 잡았다.

이런 탓에 콘텐츠 제작 투자를 늘리기 어려운 형편이다. 플랫폼보다 콘텐츠가 우선이라는 인식도 커지고 있지만 콘텐츠 제작 부문의 적은 수익이 투자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실제 콘텐츠 제작 투자에 가장 힘을 싣는다는 평가를 받는 넷플릭스는 지난 2019년 기준 매출 대비 콘텐츠 투자 비용을 일컫는 재투자율이 74%에 달했다. 미국의 주요 MVPD(다채널서비스) 재투자율이 같은 기간 평균 58% 정도다. 한국의 32% 수준과 비교대상이 아니다.

결국 재원적인 문제가 콘텐츠 경쟁력을 가로막고 투자로 이어지지 않아 미래 경쟁력에 대한 우려도 낳고 있다는 뜻이다.

천혜선 박사는 “국내 방송 역사와 성숙도, 경제력을 고려할 때 고착화되는 저가요금을 개선할 필요가 더 커지고 있다”며 “유료방송 요금 신고제를 도입해 요금제 출시를 다양하게 유도하고, 다매체 환경을 고려해 방송 부문에 강도 높게 적용되는 광고규제도 대폭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 산업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성격의 산업이지만 다른 산업과 비교해 국내 자본의 투자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조세 혜택과 같은 투자유인 정책은 매우 소극적이다”면서 “규모의 경제로 국내 산업을 위협하는 글로벌 OTT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제작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서장원 CJ ENM 전략지원실장은 이와 같은 주제발표에 대해 “시총 기준으로만 따지면 넷플릭스나 디즈니 100분의 1도 되지 않는 국내에서는 대기업은 3% 수준의 콘텐츠 제작 세액공제가 이뤄지고 이마저도 일몰을 앞두고 있다”며 “100배 이상 큰 회사들은 25~30% 수준의 투자 세액공제를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콘텐츠 유통 과정에서 잘못된 분배구조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콘텐츠 제작사는 글로벌 OTT에 종속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