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 온실가스 감축 박차…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사업 확대

온실가스 주범 이산화탄소 줄이기 위한 CCU·CCS 사업 적극 추진

디지털경제입력 :2021/11/02 11:39

SK이노베이션이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을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를 가한다.

SK이노베이션은 주력 생산기지인 울산CLX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CCU)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지난 7월 1일 스토리데이 때 선언한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을 울산CLX 현장에서 직접 실천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과거 울산CLX에서 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별도로 분리하지 않은 채 다른 가스와 함께 연료로 사용되고, 타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그대로 대기로 배출되기도 했다.

울산CLX는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환경 이슈를 고려해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판매하는 사업에 나섰다.

울산CLX 내 석유 1공장 중질유분해(HOU) 시설 수소 제조 공정에서 만들어진 ‘저순도 수소’는 별도 회수시설에서 부산물인 이산화탄소의 흡수·분리 과정을 거쳐 고순도 이산화탄소 가스로 회수된다.

SK이노베이션 울산CLX 석유 1공장 중질유분해(HOU) 시설의 수소 제조 공정

이후 고순도 이산화탄소 가스는 반도체 에칭용, 용접, 드라이아이스, 식물재배 등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판매처에 공급된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울산CLX는 이산화탄소 회수를 통해 대기환경 이슈에 적극 대응하면서 사업적으로는 수소 제조 및 정제 공정의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까지 거두게 됐다”고 설명했다.

내년부터는 석유 2공장의 수소 제조 공정에서도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울산 인근 공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의 이산화탄소 판매 사업은 연간 30만톤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은 CCU 사업과는 별개로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CCS) 기술도 추진 중이다.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는 지난 9월 석유공사와 국책 과제인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울산CLX 석유 3공장의 수소 제조 공정을 대상으로 최적의 탄소 포집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사업 타당성 평가가 진행 중이다. 2023년까지 실증 모델을 개발하고 이르면 2025년부터 CCS 실증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관희 SK에너지 공정혁신실장은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는 국내 최초 대규모 CCS 실증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하고 수소 공장 효율 개선과 블루 수소를 활용한 수소 연료전지 발전 등 추가적인 사업 기회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석유화학 공장의 탈탄소 롤모델로 만들어 가면서 SK이노베이션 계열 넷제로 2050 달성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