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욱 장관 "탄소중립 기술 투자 대폭 확대해야"

‘산업부·R&D 전략기획단, R&D 전략회의’서 산업기술 R&D 투자방향 재정립 강조

디지털경제입력 :2021/08/18 15:29    수정: 2021/08/18 15:41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8일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날 서울 역삼동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OSP)에서 R&D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탄소중립 등 전 지구적 거대 현안이 부상하고 국가 간 기술패권경쟁과 글로벌밸류체인(GVC) 재편, 4차 산업혁명 가속화 등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면 산업기술 R&D 투자 방향을 재정립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8일 서울 역삼동 한국기술센터 대회의실에서 '전략기획단 R&D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 장관은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가 가야 할 길이지만 아직 아무도 가보지 않은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저탄소·무탄소 공정혁신 기술개발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이를 통해 산업계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장관은 또 “산업 공급망과 기술 안보 관점에서 필수적인 반도체·배터리 등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개발에서 보호에 이르기까지 강력하고 빈틈없는 지원체계를 마련해 기술 초격차를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 장관은 “중소·중견기업이 R&D를 통해 성장하고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R&D를 통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산업생태계 촉진형 R&D 지원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략회의에서 ‘산업기술 R&D 혁신 아젠다’를 발제한 오동훈 R&D 전략기획단 기술정책 MD는 “탄소중립·공급망 경쟁 등 글로벌 차원에서 산업구조가 대변혁하는 시대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대담한 R&D가 필요하다”며 R&D 시스템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은 18일 서울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전략기획단 R&D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오 MD는 “탄소중립 기술은 기존 공정을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고난도 기술이자 실제 산업현장에서 작동돼야 하는 기술이므로 기술개발과 실증이 필수적으로 연계돼야 한다”며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 다배출업종은 주로 대기업 중심 업종이기 때문에 대기업의 기술개발 투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정부 R&D 매칭 부담 완화 등 R&D 참여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 MD는 국가핵심기술 개발은 공급망 재편에 대비해 정책지정 등 신속하고 유연한 R&D 시스템을 마련하는 한편, 핵심기술 및 핵심 인력 유출방지 대책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오 MD는 또 최고 R&D 권위자가 참여하는 개념설계형 R&D 도입, 개별 요소기술이 연계된 대형 통합형 R&D, 포상형 R&D 등 연구 인센티브 확대, R&D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금융 활성화 등 다양한 R&D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문 장관은 “R&D 전략회의에서 논의된 R&D 혁신 아젠다를 구체화해 제도를 개선하고 산업기술개발사업에 반영하는 등 R&D 혁신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며 “앞으로도 R&D 전략기획단이 정부와 연구현장을 잇는 R&D 소통창구 역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