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10곳 중 6곳 "코로나 이후 해외진출 전략 바꾸겠다"

대한상의, 국내 300개사 조사…"지역 다변화·비대면 관리방식 등 고려"

디지털경제입력 :2021/07/18 13:58    수정: 2021/07/19 07:55

포스트코로나 시대 글로벌 밸류체인(GVC) 재편 과정에서 국내 수출기업들 상당수가 해외 진출 전략을 수정하고, 진출지역에 다변화를 모색하는 등 새로운 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출기업 300개사(해외투자기업 포함)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이후 기업의 해외진출 동향과 대응과제' 조사 결과, 수출기업의 58.3%는 '코로나 이후를 대비해 해외진출 전략에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우선 고려하는 진출전략을 묻는 질문엔 '지역 다변화(54.9%)', '관리 방식 비대면화(42.9%)', '마케팅 방식 다변화(32.6%)', '품목 다변화(29.1%)'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기존 전략만으론 글로벌 경쟁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앞두고 기업들이 해외 진출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했다.

코로나19 자료 사진. 제공=픽사베이
국내 300개 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전략 다변화 준비 현황. 자료=대한상의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진출지역을 묻는 질문엔 '미주(34.7%)', '동남아시아(28.6%)', '유럽(17.7%)', '중국(10.2%)' 순으로 꼽았다. 국내 기업의 주요 관심국가가 아시아 지역에서 벗어나 미국·유럽지역으로 이동한 셈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국가 간 이동이 힘들어지면서 중국·동남아의 지리적 편의성은 축소됐다"면서 "비대면 사업추진에 대한 경험치가 늘면서 미주·유럽 등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선진시장으로의 관심도가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국내의 대외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27%가 '좋아졌다'고 답했다. 반면에 53%는 '변함없다'고 밝혔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 우리 기업의 자신감이 높아진 점이 해외진출 지역다변화 추세를 뒷받침한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코로나 시대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현황을 묻는 질문엔 '축소(43.0%)'하거나 '보류(9.3%)'했다는 기업이 절반에 달했다. 예상되는 코로나 회복 시기는 44.7%가 '1년 내', 35.7%가 '2년 내'라고 답해 코로나 이전 수준의 정상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시대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상황. 자료=대한상의

향후 경기전망에 대해서 물었더니 기업의 82%는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전세계 인구 중 23.1%에 백신접종이 이뤄졌고, 백신접종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이 원활치 못한 것은 사실이나,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경계로 진출전략에 변화가 느껴진다"며 "팬데믹 이후 GVC 재편과 미·중 통상갈등으로 인해 전통적 진출 대상국이었던 중국·동남아를 벗어나 빠른 경기회복이 예상되는 미국·유럽 등 선진국 중심 지역으로의 진출을 적극 고려하는 것이 코로나 이전과 확연히 달라진 점"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원활한 해외 진출을 위해 정부에 가장 기대하는 지원정책을 묻는 질문엔 '금융지원(35.5%)' 가장 많이 꼽았다. '자가격리면제 등 출입국우대(34.0%)', '정확·신속한 현지정보제공(29.8%)', '백신우선접종(19.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과 현지정보 수집 어려움이 연결되면서 해외진출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강석구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팬데믹 이후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이 주춤했지만, 각국이 경쟁적으로 코로나 대응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백신접종에 따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앞으로 해외진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코로나 이후 변화된 경제 환경에 맞춰 정부도 정책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통상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