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車부품기업 1천곳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

산업부,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1/06/10 13:00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천여곳을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한다. 미래차 전환에 따라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 신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줄어들 것이란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개최한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자동차연구원의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기업과 고용인원의 약 47%인 4천195개사, 10만8천여명이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해당한다. 2030년까지 900개 기업이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부품산업 생산·고용은 2016년 이후 감소·정체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이후 경영상황도 악화돼 개별기업의 역량으론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이어 "부품산업 생태계를 신속히 미래차 중심으로 혁신해 친환경·자율주행 소재와 부품시장을 선점하고, 일자리·생산 기반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Pixabay
산업부가 10일 발표한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 자료=산업부

'미래차 전환 지원플랫폼' 구축…부품 사업모델 혁신도 밀착 지원

산업부는 완성차사·지원기관과 함께 부품기업의 전략수립,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하는 '미래차 전환 지원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지자체 주도로 특화분야를 선정해 인프라 구축계획 등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는 시험·인증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지역대학의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 지원과도 연계할 방침이다.

부품기업의 미래준비와 신사업 진출을 위한 '이종산업 간 협력의 장'도 확대한다.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회'를 설립해 부품·IT·서비스 등 이종 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전략적 제휴, 표준화 등 협업을 촉진한다.

자동차 부품산업의 사업모델 혁신도 지원한다. 부품기업들이 시장이 성장하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완성차사 신차개발 전략에 부합하는 부품·소재 개발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하이브리드, SUV 전기차, 고효율 승용차 등 중견 3사의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해 협력업체 특화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전기차·도심항공모빌리티(UAM)·자율주행·연료전지 등 완성차사의 미래 투자계획과 연계해 4대 분야 부품개발도 집중 지원한다.

자동차 부품 산업 현황. 자료=산업부

소재 국산화율 70%→95%…5천억원 규모 미래차 펀드도 조성

완성차사의 공급망 내재화 계획과 연계해 올해 국산화 전략품목 기술개발 사업에 총 648억원을 투입한다. 전기·수소전기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 수준에서 2025년 95%로 높이기 위해 올해 329억원의 자동차소재 R&D 예산도 투입한다.

차량용 반도체 양산성능 평가와 기업간 협력모델엔 올해 119억원을 지원한다. 자율주행 6대 핵심부품 국산화·고도화 분야에도 200억원을 투자한다.

자금·기술·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도 확충한다. 미래차 전환에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나, 매출 발생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나온 방안이다.

관련기사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와 인수·합병(M&A) 자금에 대한 저리융자 지원을 검토하고, P-CBO는 매출 감소와 저신용 등급 중소기업의 지원한도 확대를 통해 미래차 전환을 위한 자금조달을 뒷받침한다. 상세 지원방안은 내년 정부예산안 확정 시 발표한다.

총 5천억원 규모의 미래차 펀드를 조성해 분사·M&A·설비투자 등 사업재편 유형별 종합적인 자금지원도 추진한다. 미래차 분야에 설비투자 시 공장증설 없이도 외투·지투 보조금을 지원토록 관련 법 개정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