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올해 한국판 뉴딜의 핵심사업인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과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 사업에 4천368억원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7일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8~2022년)’에 따른 ‘202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은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정책 일관성 유지를 위해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와 지자체 등의 시행계획을 통합해 매년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올해에는 중앙부처와 지자체에서 공간정보 생산·공간정보 플랫폼 활성화 등 총 800개 사업에 4천368억원을 투자하는 등 기관별 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디지털 트윈은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도약하는 한국판 뉴딜사업의 하나로 추진하는 국토부 핵심사업 중 하나”라며 “데이터 경제,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등의 구현을 위한 주요 인프라인 공간정보 구축과 활용이 요구됨에 따라 2021년 시행계획에 담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과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활용에 836억원을 투입한다.
자율주행, 스마트 건설 등 신산업 기반으로서의 역할과 안전한 국토·시설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관련 기술개발 등에 투자를 확대한다.
디지털 트윈 등의 기반정보인 정밀도로지도, 지하공간 통합지도, 3D 지형지도 등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 등에 중점 투자한다.
지난해까지 고속도로 구축을 완료한 정밀도로지도는 올해 160억원을 투입해 일반국도 1만1천570km와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서울시 등 6개 지자체) 100km 구축할 계획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도 지난해까지 특·광역시 등 55개에 이어 올해 134억원을 들여 제주, 여수 등 33개 시 지하 시설물·구조물·지반 등을 통합한 3D 지도를 구축한다.
전 국토를 3차원 입체 지형 모델로 구축하는데도 85억원을 투입한다.
디지털 트윈 국토 ISP 및 행정활용모델 지자체 시범사업에 41억원을 투입해 지상·지하를 3D 디지털지도로 연결하는 디지털 트윈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분야별로는 ▲가치 창출 공간정보(2천637억원) ▲공간정보 플랫폼 활성화(1천337억원) ▲공간정보 산업 육성과 정책환경 조성(394억원)분야에 총 4천368억원을 투입한다.
가치 창출 공간정보 사업은 공간정보에 신기술을 효율적으로 융·복합 활용하고 안전사고 예방 등에 필요한 고품질 공간정보를 구축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다양한 분야·기술과 융·복합 활용이 기능한 국가기본도 구축 사업(309억원), 도심지역 시설물 관리를 지원하고 각종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대축척 수치지형도(1천분의 1) 제작 사업(100억원), 드론 활용 열지도 구축 사업(1억4천만원) 등이다.
생산된 공간정보를 대민서비스와 행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해 플랫폼을 구축하는 공간정보 플랫폼 활성화 사업은 3차원 공간정보의 공공·민간 활용 서비스 플랫폼(V월드) 운영(14억원), 데이터 기반으로 해양공간 특성평가, 개발 잠재력 등을 분석해 해양용도구역을 설정·관리하는 해양공간통합관리 시스템 구축(24억원) 등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 정부,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사업에 올해100억원 투입2020.02.11
- 범정부 디지털 뉴딜반 회의, 디지털 트윈 집중점검2021.04.08
- 국토부, 29일 ‘디지털 트윈·브이월드 발전 방향’ 세미나 개최2020.10.25
- 3차원 지도 등 디지털 트윈기반 2022년까지 구축2020.07.30
첨단기술을 활용해 미래 신산업을 지원하는 공간정보 구축과 국가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보행도로, 상점 위치 등 실감형 서비스와 신산업 육성을 위해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3차원 공간지도를 구축하는 사업과 첨단기술 수요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 융·복합 분야 우수 인재 양성 사업도 담겼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202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을 계기로 공간정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디지털 트윈 등 미래 신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