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61% "보궐선거 보도가 갈등 유발"

언론진흥재단, 시민의식 조사 결과…"후보선택 도움안돼" 63%

인터넷입력 :2021/04/23 14:19    수정: 2021/04/23 14:46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보를 갖춘 시민(informed citizen)’은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둥이다. 물론 그런 시민은 저절로 배양되는 건 아니다. 선거처럼 중요한 선택을 할 때는 합리적 선택과 판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접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언론이다.

그렇다면 지난 4월 7일 실시된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서는 언론이 시민의 합리적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됐을까?

대다수 시민들은 선거보도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했으며, 여론조사 보도 역시 후보 선택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표완수)이 최근 발간한 ‘미디어이슈’ 7권 2호 ‘선거 보도 및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시민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 유권자의 58.7%는 이번 선거 보도가 후보 선택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사회 갈등을 유발했다고 응답한 유권자도 61.1%에 달했다. 

이번 조사를 ㅟ해 ‘미디어이슈’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투표권을 보유한 만 19세 이상 서울시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서울시장 보궐선거 유권자의 74.3%는 선거 보도에 관심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절반에 가까운 47.8%가 선거보도를 불신했다고 응답했다.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신뢰도도 낮았다. 조사 결과 유권자 46.9%는 선거여론조사 보도를 불신했다고 응답했다. 불신 이유는 ‘선거여론조사가 객관적이지 않다’는 것이 62%로 가장 높았다.

또 선거여론조사 보도가 순위 중심이었다는 의견도 69.2%에 달했다. 반면 선거 여론조사가 후보 선택이 도움이 됐다는 유권자 37.3%에 불과했다.

‘공직선거법’ 제108조(여론조사의 결과공표금지 등)에 의해 현재 제한돼 있는 선거여론조사결과 공표 금지 기간을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지금보다 줄이거나 아예 없애야 한다는 의견은 20.1%, 늘려야 한다는 의견은 19.7%였다.

관련기사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가 후보 선택이나 지지에 영향을 받았던 선거 관련 언론 정보는 ‘선거 TV 토론회’(59.2%), ‘선거 관련 보도’(54.2%), ‘선거여론조사’(40.6%) 순으로 확인됐다.

‘미디어이슈’ 7권 2호 ‘선거 보도 및 선거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시민 인식’ 전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www.kpf.or.kr→미디어정보→정기간행물→미디어이슈)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