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장관이 한국과 미국 양국이 이른바 ‘백신 스와프’ 협의에 착수했다고 밝히면서 백신 부족 상황을 타개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미 양국 사이에 백신 스와프 도입을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정 장관은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의 방한 당시에도 백신 스와프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음을 거듭 강조했다.
백신 스와프란, 바이든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필요한 백신 물량을 지원하면 이후 국내 제약기업이 미국 백신 제조 기술을 들여와 백신을 국내에서 위탁 생산해 미국에 백신을 다시 제공하는 국가간 백신 협력 방안이다.
비록 양국 사이에 백신 협력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낙관은 이르다. 전 세계적 백신 수급 악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미국을 통해 확보할 백신 물량은 그리 넉넉지 않으리란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 "8월 국내 위탁 생산 해외 백신, 스푸트니크V 아냐”2021.04.16
- 변이 바이러스 감시·차단은 양호하지만 백신 대책은 속수무책2021.04.16
- 민간 백신 개발 위한 정부 지원 방향은 ‘조정·가이드’2021.04.13
- "노바백스 백신, 3분기 2천만 회분 국내 생산 기대”2021.04.12
이는 미국 내 변이 바이러스주 유행이 심각하고, 이를 타개코자 바이든 행정부가 추가 접종을 고려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 때문에 백신 스와프가 성사돼도 우리가 미국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최종 물량의 규모가 ‘충분’하리란 보장은 없다.
결국 백신 스와프도 정부가 추진 중인 백신 수급 다변화의 한 라인에 불과할 수 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