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탄소중립 핵심기술 'CCUS' 新산업으로 키운다

7일 '민관합동 K-CCUS 추진단' 발족…기업·대학·연구기관 참여

디지털경제입력 :2021/04/07 11:00    수정: 2021/04/07 13:33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의 핵심기술인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개발과 상용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

2030년까지 CCUS 기술을 탄소중립 신(新)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 기반을 마련하면서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민관합동 'K-CCUS 추진단' 발족식을 개최하고 민관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논의가 확산되면서, 배출 불가피한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CCUS의 중요성도 커지는 상황이다. 정부도 CCUS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나, 상용화와 CCUS 신산업화에 속도를 내기 위해 긴밀한 민관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사진=Pixabay

2025년까지 포집·저장·활용 분야별 상용화 기술 확보

산업부는 "민관합동 K-CCUS 추진단은 협력의 구심점이자 CCUS 확산의 컨트롤 타워로서 CCUS 신산업화를 위한 민관의 노력을 주도할 예정"이라고 했다.

추진단엔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발전5사(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포스코 ▲성신양회 ▲영풍산업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50개 기업이 참여한다. 유관학과가 있는 전국 20개 대학과 에너지경제연구원·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 10곳도 협력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추진단은 업계 기술개발 수요 파악과 정책 수요 발굴 뿐 아니라 CCUS 성과 확산,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라며 "상설 사무국을 운영해 CCUS 산업 육성, 국내외 기술·정보 교류 활성화, 기술개발·인력 양성과 국제협력 업무를 담당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도 CCUS를 신산업으로 육성하고 초기단계에 있는 전세계 기후위기대응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다부처 사업 등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미 개발된 기술에 대한 실증 투자를 확대해 2025년까지 포집·저장·활용 분야별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산업별 중규모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단계적 실증을 추진, 2024년까지 주요 업종의 상용 규모 포집기술을 확보하겠단 목표다.

K-CCUS 추진단 체계도. 자료=산업부

전남 여수에 실증·사업화 지원센터 구축

액화천연가스(LNG)·철강·시멘트·석유화학 산업의 중소규모 실증 사업엔 올해부터 2024년까지 600억원을 투입한다. 수소는 동해가스전과 연계해 하반기 예타를 진행, 중대규모 포집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저장기술은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통합실증사업을 통해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 1천200만톤(연간 40만톤급)을 저장하고 포집·수송·저장 전주기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활용기술은 조기 실증·상용화 기술을 선정, R&D 집중 투자를 통해 CCU 기술 조기 상용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

2023년까지 국내 대륙붕 탐사·시추를 통해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춘 1억톤급 대규모 저장소를 우선 확보하고, 2030년까지 추가 저장소 확보도 추진한다. 1억톤은 매년 4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30여년간 저장 가능한 규모다.

연내 전남 여수에 'CCU 실증·사업화 지원센터'를 구축해 스타트업과 혁신기업도 육성한다. 관련 법률 제정 작업도 올해 착수한다. CCUS 기술개발, 기업 육성 등 산업 기반 조성 방안과 시설에 대한 안전과 환경관리 체계를 담은 단일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혁신정책관은 "CCUS 기술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이 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후대응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민관의 협업이 필수"라고 했다.

이어 "추진단이 중심이 돼 민관·민간 간 협업 성공사례를 만들고 확산해 CCUS 신산업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달라"며 "정부도 추진단의 일원으로 민간수요를 바탕으로 기술개발·상용화와 신산업 창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