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항 내년 비대면 공항 탑승수속 가능해져

국토부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 수립 등 23개 과제 추진

디지털경제입력 :2021/03/17 11:00

국토부가 애초 2025년으로 계획한 전국공항 비대면 탑승수속 절차를 내년으로 앞당긴다.

지난해 1월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중국발 항공기 입국자들이 열감지카메라가 설치된 검색대를 통과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테러동향 및 주요 보안정책 여건과 코로나19 대유행 등 환경변화를 반영한 ‘2021년 항공보안 시행계획’을 수립해서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시행계획은 5개 분야 23개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첨단 보안장비 기술 개발 및 배치 계획 수립 등 항공보안 역량 강화는 물론 비대면·비접촉 시대에 맞는 보안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국제기준에 부합하고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비전과 목표설정을 위해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내 공항 짐배송서비스를 4월부터 시범 추진하고 백신 등 바이오의약품 보안검색절차 간소화 등 보안검색 과정에서 불편했던 점을 개선한다. 짐배송서비스는 국내선 출발 공항에서 서비스를 신청하면 대행업체가 도착 공항에서 승객 짐을 대신 찾아 목적지(숙소)까지 배송하는 서비스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강조하는 보안문화 확산 추진을 위해 보안의식 제고 캠페인과 워크숍 등을 추진하고 시범운영 중인 인공지능(AI) 엑스레이 자동판독시스템의 기능 고도화를 통해 완벽한 검색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손명수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 지난해 12월 데이비드 페코스케 미국 교통보안청장과 영상으로 항공보안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엑스레이 자동판독시스템은 김포공항 국내선 엑스레이 9호기, 10호기(지난해 10월)와 인천공항 T2 출국장 내에서 5대(올해 1월)를 운영하고 있다.

내년까지 한국판 뉴딜사업 예산 170억원(올해 68억1천만원)을 투입해 전국공항에 생체정보를 활용한 비대면 탑승수속 절차를 조기구축한다. 효율적인 항공보안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연구, 미래형 보안검색장비 공항배치를 위한 청사진(로드맵)도 마련한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580억원의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해 테라헤르츠(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기술 개발을 4월에 착수하고 신발을 벗지 않고 검색할 수 있는 검색기술개발도 추진한다.

드론에 의한 항공테러 예방을 위해 ‘불법드론 대응시스템’을 확대 구축한다. 김포공항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설계와 장비구매를 추진하고 제주공항에는 레이다를 설치해 시범운영한다.

지난해 7월 구축된 인천공항에서는 불법드론 탐지를 통해 항공기 이착륙 긴급 통제 등 항공 승객과 공항시설 안전조치 3건을 시행한 바 있다.

또 한-미 항공보안협력 강화 일환으로 그간 미국 교통보안청(TSA)과 추진해 온 미국행 승객 보안 인터뷰와 추가검색 완화를 지속 협의해 구체적인 성과도출에 박차를 가한다. 인천발 미국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하는 위탁수하물 환승 검색 면제를 통해 한국 환승객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원격검색시스템(CVAS)을 구축, 7월부터 시범운영하는 방안도 협의 중이다.

한-미 항공보안수준 상호인정 추진을 위해 미국 측 항공보안 전문가를 국토부에 파견받아 실무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한미 양국은 2019년 12월 ‘제8차 한-미 항공보안 협력회의’에서 ▲양국 간 항공보안체계 상호인정 ▲점검기법 공유 ▲기내 난동 대응강화를 위한 제도·교육훈련 지원 ▲불법드론 대응 관련 정보공유 ▲양국 간 직원교류 정례화 등을 합의한 바 있다.

김수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항공기 이용객의 안전은 물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항공보안정책을 추진하고 스마트 검색기술과 첨단장비를 개발·상용화하는 보안환경도 지속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