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 업계 "코로나 손실 보상하라"

11일 청와대·보건복지부서 대국민 호소…집합금지 피해보상 등 지원 촉구

디지털경제입력 :2021/03/11 10:42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 업계가 집합금지 조치에 따른 피해 보상과 방역지침 개선, 자금 지원 등 대책을 촉구했다.

한국전시주최자협회 등 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업 8개 단체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민생경제연구소 등 민생단체는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앞에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도 정부 관계자들을 상대로 호소에 나설 예정이다.

대국민 호소에 참여하는 단체는 ▲한국전시주최자협회 ▲한국전시디자인설치협회 ▲한국전시서비스업협회 ▲한국전시장운영자협회 ▲한국전시행사산업협동조합▲ 한국마이스협회▲ 한국PCO협회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한국중소상공인자영업자총연합회 ▲민생경제연구소 등 총 10곳이다.

10개 단체는 "전시·마이스 산업은 지난해 11월부터 필수경제부문임을 인정받았고, 행사 장소가 일반다중이용시설이 아닌 전시장·호텔 등 철저한 방역체계가 구축된 장소에서 개최한다"며 "지금까지 단 한 건의 감염확산사례도 없을 만큼 자체적으로 철저하게 방역조치를 취하고 행사를 진행 중이다. 방역당국에서 현장에 맞는 방역기준을 설정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 사진=코엑스몰
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 업계가 정부에 지원을 촉구했다. 사진은 업계가 11일 발표한 성명서 중 일부.

이들은 자신들이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처해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각 단체는 "그동안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돼 받은 고용지원금 혜택 외에 재난지원금이나 긴급경영안정자금에서는 번번이 제외됐다"고 주장했다.

전국적으로 5만여 업체, 60만여 명이 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 산업에 종사 중이다. 연간 매출 규모는 약 15조 원으로 추산된다. 업계는 지난 1년간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8개월 이상 사업 운영을 중단했고, 이로 인해 평균 매출액이 70% 감소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고 강조했다.

업계가 제시한 대책은 ▲정부·지자체 집합금지로 입은 손실보상 ▲전시장·회의시설 방역지침을 현장에 맞게 개선 ▲정부·공공기관 행사 정상 개최 ▲긴급 자금지원 ▲특별고용지원 업종 지정 기한 연장 ▲전시장 임대료 지원 등 총 여섯 가지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전시디자인설치업종의 경우 매출이 90% 감소했고, 전시서비스업종 매출은 80%, 마이스·이벤트 업종 매출은 90% 줄었다"며 "전국 각지에 위치한 전시컨벤션센터도 피해가 심각해 가동률은 20%, 개최 횟수와 매출은 30%로 수준이다. 코엑스·벡스코·엑스코 등 전시장들도 경영난에 못 이겨 직원들은 순환 휴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시·컨벤션·마이스·이벤트 행사가 주변 소상공인들에게 전파하던 낙수효과와 마이스관광 등 연계산업까지 포함하면 피해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며 "업체 대부분이 4~10명 가량을 고용 중인 소기업·소상공인인 점을 감안하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게 체감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