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누적 1만9799곳···작년 7139곳 보급

올 연말 2만3800곳으로 늘어...올해만 4000곳 신규 보급

중기/벤처입력 :2021/01/14 18:20    수정: 2021/01/14 18:53

지난해 중기부가 보급한 스마트공장은 7139곳으로 목표치(5600곳)보다 1500여곳 많았다. 누적 스마트공장은 1만9799곳에 달했다. 목표치(1만7800곳)를 상회했다. 올해 누적 목표는 2만3800곳, 2022년 3만곳이다.

14일 중기부는 "2020년까지 누적기준 목표치(1만7800개)를 상회한 1만9799개 스마트공장을 보급해 중소기업 스마트제조 저변을 크게 확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보급한 스마트공장 중 고도화 비율은 25.5%(‘19년 지원, ‘20년 구축)로 ’19년(17.9%)에 비해 높아졌다. 2020년까지 누적 고도화 비율(중간 1 이상)은 22.1%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전체 제조업 중 50인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18년 98.1%) 하는 상황에서 투자 비용이 적은 기초수준 공장이 많이 보급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스마트공장 보급을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 18.0%, 자동차 부품 10.1%, 금속가공 13.8%, 전자부품 6.1% 등 주요 업종 중심으로 진행됐다. 특히 2020년도에는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공통 솔루션을 보급하는 업종별 스마트공장 지원을 신설해 식품·의약품·뿌리·금형 등 10개 업종을 특화, 지원했다.

지난해 보급한 스마트공장 7139개 중 대·중소 상생형과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등 민간 중심의 보급이 2409개로  2019년(1937개)에 비해 증가했다. 특히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하는 대기업 등이 2019년 10개에서 2020년는 18개로 대폭 증가했고, 민간이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 후 스마트공장 수준 확인을 받은 기업 역시 증가(’19년 914개 → ‘20년 1409개) 했다.

이와관련해 중기부는 "향후 정부 중심 보급보다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인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해 지금까지 1409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바 있는데, 특히 코로나19 여파에서 제조혁신 전문가(20여명)를 현장에 파견해 자재관리, 물류동선 최적화부터 포장 공정개선, 자동화설비 도입 등을 지원해 단기간에 진단키트, 마스크 등 핵심 방역물품 대량 생산을 도왔다.

한편 중기부는 그동안의 스마트제조 저변확대 성과를 바탕으로 양적 보급 중심에서 질적 고도화로 전환을 위해 지난해 '스마트제조 2.0 전략(‘20.7)'과 '스마트 제조혁신 실행 전략(’20.11)'을 마련한 바 있다. 올해부터는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중소기업 제조혁신 정책과 함께 보급 정책도 질적 고도화를 중점 추진한다. 세부 내용은 ▲보급사업 지원체계를 고도화 중심으로 개편 ▲케이(K)-스마트등대공장 지원 등 제조혁신 선도사례 확산과 ▲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와 연계한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 활성화 ▲맞춤형 사후관리 지원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과 창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