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오는 28일 충청남도, 충남광역자활센터, 장례업계, 한국소비자원, 시민단체들과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를 조성키 위해 자발적 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장례식장에서 주로 쓰이는 1회용 컵·수저·접시·용기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와 충남도·자활센터·장례업계가 힘을 모은 것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를 기준으로 11개 장례식장의 일회용품 사용량은 약 926만개(65톤)다. 전국 장례식장에서 발생한 일회용 폐기물은 연간 약 3억7천만개(2천300톤)로 추정된다.
환경부와 충남도는 충남광역자활센터와 함께 공주 충남의료원에 다회용식기 공급·회수·세척·재공급 체계를 구축, '일회용품 없는 장례식장 우수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

충남광역자활센터는 우선 아산지역에 구축한 다회용식기 세척 사업장을 내년 2월부터 본격 운영 예정이다. 이번 운영 경험을 토대로 서산 등 타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세척시설 설치의 어려움, 인력부족의 문제로 일회용품을 이용하던 장례식장이 다회용식기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한국상조·상조보증공제조합은 협약 장례식장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다회용식기 사용을 권고할 계획이다. 친환경 장례문화 정착을 위해 자원순환사회연대와 충남환경운동연합,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대상 인식개선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활동을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2030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전면 금지2020.12.24
- 종이컵에 따뜻한 커피 한잔...알고보니 ‘미세 플라스틱’ 덩어리2020.12.21
- 코카콜라,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량 1위…국내 1위는 롯데2020.12.22
- 환경부,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 부착 금지2020.12.17
환경부는 다회용식기 세척 사업장이 효율적으로 운영·확산될 수 있도록 홍보활동과 협조체계를 구축,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 확산을 위해 관련 업계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다.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장례식장 다회용식기 사용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 장례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 모두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