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중국과 도로 대기오염물질 저감 논의

8일 '한-중 자동차 오염물질 저감정책 영상회의'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0/12/08 10:31

정부가 중국과 수송부문에서의 대기오염물질 저감정책 현안을 논의한다.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환경협회에서 '한-중 자동차 오염물질 저감정책 영상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양국 대기분야 협력의 최상위 계획인 '청천(晴天·푸른 하늘)계획' 이행의 일환으로, 지난해에 이은 두 번째 회의다.

코로나 확산 상황을 고려해 영상회의로 진행되는 이번 회의엔 수도권대기환경청·중국환경과학연구원·한중환경협력센터·한국자동차환경협회 등 4개 기관의 관계자·연구원 20여 명이 참석한다.

양국의 실무진들은 자국의 운행차(도로·비도로) 배출가스 저감정책과 미래차(전기·수소전기차) 보급계획을 공유하고, 수송부문 전반에 걸친 미세먼지 저감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Pixabay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이달 1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시행하는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부문별 주요 저감대책을 소개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를 중점 설명한다.

중국환경과학연구원은 건설기계·농기계 등 비도로 이동오염원 배출 현황·관리 정책을 발표한다.

자동차환경협회는 미래 자동차 확대 전략을 주제로 전기차·수소전기차 등 미래 친환경차 보급계획과 충전소 구축·운영 방안을 소개한다.

관련기사

이어 중국환경과학연구원은 '배출가스 무배출(Zero Emission) 상용차 보급정책'을 주제로 심천시의 전기버스 보급사례를 소개하고, 내연기관차의 전기차 전환 계획을 공유한다.

정복영 수도권대기환경청장은 "호흡 공동체인 우리나라와 중국은 수송부문 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자동차 오염물질 저감정책을 논의하는 이번 회의의 의미가 크다"며 "우리나라의 계절관리제와 중국 추동계대책의 본격적인 시행 시기에 맞춰 개최되는 만큼, 양국 실무진들이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