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T, 제조혁신 선도 위한 키워드 ‘디지털·상생·R&D’ 제시

3일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 개최…제조업 대전환을 위한 10대 과제 제안

디지털경제입력 :2020/12/03 12:05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원장 석영철)은 3일 오후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 2020 연차대회’를 개최해 대한민국이 제조혁신 선도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정책 어젠다를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New Push를 통한 One Team Korea’를 주제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KIAT 유튜브 채널’로 온라인 생중계했다.

올해는 지난해 발표한 ‘제조업 대전환’을 위한 ACT(I) 전략을 한층 더 강화(NEW PUSH)해 어젠다를 구체화하고 정책 연속성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KIAT는 지난 1년간 산학연 전문가 120여명이 참여해 대한민국이 제조혁신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ACT(Ⅱ) 3R 전략을 도출했다.

ACT(II) 3R 전략은 ▲(Resilience) 제조 강국으로 가는 길 ▲(Refresh) 상생하는 생태계를 향한 나침반 ▲(Reset) 매력 있는 기업환경 만들기다. 또 제조업 대전환을 위한 10대 과제로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데이터 기반 제조·서비스 고도화, 친환경 디지털 인프라, DX 인재 양성(제조 강국으로 가는 길) ▲글로벌 공급망 유연화·첨단화, 산학연이 주도하는 글로벌 전략, 지역혁신 패러다임 전환(상생하는 생태계를 향한 나침반) ▲기업 R&D 활성화 전략, 혁신촉진형 기업환경 조성, 현장기반 산업기술정책 전환(매력있는 기업환경 만들기)를 꼽았다.

제조업 대전환을 위한 3R 전략, 10대 과제

두산 이현순 부회장의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2021년 산업기술 정책 어젠다 발표는 이화여자대학교 김상윤 교수, 단국대학교 박문수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중구 교수가 맡았다.

패널토론에는 석영철 KIAT 원장, 김우승 포럼 대표,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가천대학교 곽재원 교수, 한국경제신문 안현실 논설위원, 산업통상자원부 장영진 국장 등이 참여해 향후 정책화 방안을 논의했다.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대표 김우승 한양대 총장)은 산업계·학계·연구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개방형·소통형 산업기술정책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해 왔다.

관련기사

2014년 창립 이래 매년 우리 경제·산업이 함께 고민해야 할 정책적 화두를 제시하고 선도적 산업기술 혁신 정책을 정부에 건의하는 포럼으로 자리 잡았다.

석영철 KIAT 원장은 “이제는 제조혁신을 위한 기반을 닦고 혁신 주체가 상생·협력을 이뤄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환경을 조성해야 할 시점”이라며 “오늘 제시한 정책 어젠다가 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One Team Korea’로 도약하는데 자그마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