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통신을 위한 세계 각국의 연구개발과 전략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5G 상용화를 위해 패권 경쟁을 벌였던 한국과 중국, 미국, 일본, 유럽이 다가올 6G 시대 준비도 가장 빠르게 나섰다.
차세대 인프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과 함께 기술 개발을 위한 각국의 전략 공유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끄는 부분이다.
5G포럼 의장을 맡고 있는 전홍범 KT AI/DX융합사업부문장은 19일 열린 ‘6G 글로벌 2020’에서 “5G가 이제 막 출발 했고 갈 길이 멀지만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면서 “전 세계는 이미 6G 선점 경쟁에 들어섰고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날 발표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국 공업신식화부, 일본 총무성,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차례로 각국의 6G 전략이 소개됐다.
과기정통부는 10년 주기로 통신 기술이 세대별 진화를 거치면서 2028년에서 2030년에 6G 통신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지난 2018년부터 6G 초기 연구를 시작했다. 2011년 LTE 상용화 직후인 2013년 5G 기술 개발에 나선 만큼 현재 6G 연구가 이른 시점이 아니라는 뜻이다.
국내에선 차세대 통신 방식의 기술 확보와 표준과 특허, 산업 인프라 측면에서 접근했다. 5G에서 초당 1기가비트(Gb) 전속 속도를 목표로 했다면 6G에서는 초당 1테라비트(Tb)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목표로 세웠다. 통신 지연 속도는 5G 대비 10분의 1로 줄이고, 10km 상공까지 커버리지를 넓히면서 AI를 더한 네트워크 보안을 강조했다.
중국은 5G 통신의 성공이 6G의 기반이란 전략으로 접근한다고 밝혔다. LTE에서 모바일 인터넷이 시작됐고 5G가 모바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됐다면 6G에서는 5G 서비스의 확장 모델로 삼겠다는 뜻이다.
중국 공업신식화부는 IMT-2030 프로모션 그룹을 중심으로 6G 연구를 시작했고 연구기관, 통신사, 시스템 장비사, 칩셋 벤더, 대학과 협력 모델을 갖췄다. 특히 AI와 오픈소스 기술을 도입하면서 이동통신에 그치지 않고 인공위성을 더한 우주 통신을 가능케 한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일본 총무성도 중국 공업신식화부와 같이 6G 통신을 5G의 연장선상으로 접근했다. 때문에 ‘비욘드 5G’라는 이름으로 5G 특성에 새로운 기술을 덧붙인다는 전략을 세웠다.
예컨대 5G의 주요 특성인 초광대역(eMBB), 초저지연(URLLC), 대규모사물통신(mMTC)은 고도화하고 에너지 효율, 자동화, 확장성, 보안 등의 기능을 특화시킨다는 계획이다.
5G 주도권 경쟁에서 한발 뒤늦게 참여한 유럽은 6G에서 통신 기술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했다. EC 측은 국제적인 6G 개발 협력을 강조하면서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5G 이후 버티컬 서비스, 완전 자동화 인프라, 양자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안, 에너지 효율, 오픈랜과 같은 지속적인 개발 목표 등을 세웠다. 통신 기술의 활용 방식과 네트워크 관리, 사회문제 해결 등으로 접근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유럽은 6G를 통한 기술 청사진과 함께 5G PPP를 통해 기술 표준화 계획도 세웠다. 이를 통해 5G 확산과 6G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7년 동안 유럽연합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에서도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은 규제 정비와 주파수 추가 발굴을 통해 민간 시장의 움직임을 끌어낸다는데 방점을 뒀다. 2025년까지 5G 투자가 80% 이상 완료될 것으로 보고, 통신 기반 산업의 경제 효과를 이어가기 위해 주파수 추가 공급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운 점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 2026년 6G 시범서비스…정부, 5년간 2천억 투자2020.08.06
- "6G 연구, 시기상조 아니다"…삼성이 반박한 이유2020.07.26
- 6G 경쟁 본격화…韓·美·中 기술 주도권 노린다2020.08.04
- “6G 기술 개발, 지금이 적기…망설이면 美·中에 시장 뺏긴다”2020.02.11
우선 71~76GHz 대역을 포함해 90GHz 이하 대역에서 추가 주파수를 조기에 발굴하고 95GHz 이상의 대역에서도 통신 주파수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FCC는 이와 같이 정부의 역할 가운데 통신 관련 제도를 살피는데 주력하고, 관련 기술 개발은 지난달 발족한 ‘넥스트 G 얼라이언스’를 주목했다. 넥스트 G 얼라이언스는 미국통신산업협회가 향후 10년 동안 6G 기술 개발과 미국의 통신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한 목표를 세운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