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전지 재활용 20% 불과…"보조배터리 따로 버리세요"

환경부, 폐전지류 분리배출 홍보 강화 나서

디지털경제입력 :2020/11/09 12:00    수정: 2020/11/09 13:30

최근 3년간 국내 폐전지(배터리) 재활용률이 20%대에 머물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를 폐전지류에 대한 분리배출과 유해성 인식 부족에 따른 결과로 보고,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 전지류 분리배출 홍보에 나섰다.

9일 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전지류 재활용률은 지난 2017년 25.3%, 2018년 21.6%, 지난해 23.5% 등으로 집계됐다.

리튬이온이 내장된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 전지류와 이를 포함한 완구·소형가전 등이 생활 폐기물과 섞여 배출되면 선별·재활용 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노트북 배터리와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도 폐건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이 가능하지만, 이를 잘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

충전용 보조배터리. 사진=Pixabay

이에 환경부는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포함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는 10일부터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홍보물을 배포하는 한편, 지난 9월부터 시행 중인 '충전용 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을 통해 폐전지 재활용도 적극 추진한다.

한국환경공단이 실시한 중간점검 결과, 이번 분리배출 과정에서 지자체로부터 총 55.8톤의 폐전지류가 수거됐다. 이 가운데 4개 지자체에서 0.15톤의 충전용 보조배터리가 선별돼 재활용업체로 입고됐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다음 달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 후 성과분석 등을 거쳐 효과적인 충전용보조배터리 회수·재활용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이어 생산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생산자책임자재활용제도(EPR)를 도입키로 했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여건 조성과 자원순환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