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디지털화 촉진' 위한 법적 지원 근거 마련해야"

"산업간 융합, 데이터 자산이 뉴노멀 유통산업의 전략적 지향점"

디지털경제입력 :2020/10/23 17:15

유통산업이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디지털 유통 혁신 기업이 나올 수 있는 정책적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유통 혁신 포럼(온라인)’을 개최하고 코로나19,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온․오프라인 경쟁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 속에서 유통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했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경준 딜로이트 컨설팅 부회장은 ‘뉴노멀 커머스 패러다임에 따른 전략적 지향점’발표를 통해 코로나19로 촉발된 유통산업의 변화를 소개하고 향후 유통산업의 전략적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전망했다.

김 부회장은 “디지털 기술에서 촉발된 유통업 질서변화는 향후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도 무의미해질 전망”이라고 전하면서 “유통과 물류처럼 ‘산업간 융합’, ‘데이터 자산의 중요성’이 뉴노멀 유통산업에서의 전략적 지향점”이라고 말했다.

또 “빅데이터를 통한 인공지능 및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가상현실, 라이브 커머스 등이 시장에 제대로 안착하려면 유통산업 정책도 ‘동물원 울타리형’에서 ‘대평원 개방형’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노멀 커머스 패러다임에 따른 기업과 정부의 대응전략도 거론됐다. 토론자들은 변화된 유통산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통신기술 도입을 위한 정보의 표준화와 대․중소업계 간 상생,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한 당면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최윤희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실장은 유통사들과 VR 쇼핑몰을 만들었을 때를 사례로 들며, “VR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상품정보 속성을 표준화하는 것이었다”라며 “업계가 인공지능 기술로 수요 예측 및 재고를 관리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어도 상품정보가 부정확하고 분류 형태도 달라 실제로 정확한 상품을 통한 수주·발주, 마케팅 및 판매서비스와 연계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제2회 온라인 유통 혁신 포럼.(사진=대한상의)

이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유통산업의 활로를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를 통해 찾는 방안은 맞으나 시작부터 포지티브 규제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현재 플랫폼 확산에 따른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한 기준 마련은 당연하나 새로운 법 제정 및 규제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는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문하며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새로운 법 적용시 이중규제 여부가 검토되고 있는데 이는 중소유통 온라인 플랫폼으로 산업을 확장시켜보기도 전에 규제의 테두리 안에서 고착화될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유통 디지털화를 위한 지원을 통해 유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 제안됐다. 

토론의 좌장을 맡은 임영균 광운대 교수는 유통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유통데이터에 기반한 유통물류시설 기능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상품정보 등 유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에 대한 정책 마련과 특히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중․소유통업계에 대한 행정적 지원 근거 마련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계류중인 ‘유통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시책 수립 2020년 8월 19일 이성만 의원(더불어민주당) 대표 발의(현재 계류중)’에 관한 입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주문하였다.

관련기사

서덕호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뉴노멀 시대가 가속화되어 유통산업이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하면서 “온라인 유통 시장의 경계가 허물어진 만큼 우리 유통산업도 디지털 유통 혁신 기업이 나올 수 있는 정책적 기반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저성장과 코로나19 사태가 겹친 어려운 상황 속에도 ‘유통 혁신 포럼’을 통해 각 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