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도로지도 2022년까지 일반국도로 확대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 기반지도로 활용

카테크입력 :2020/10/04 11:52    수정: 2020/10/04 11:53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 구축범위를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약 1만4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수도권을 시작으로 일반국도 확대 구축에 착수, 내년에도 정부 예산안 160억원을 반영해 수도권,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 일반국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현재까지 제작 완료한 전국 고속국도와 주요 도심 등 약 6천㎞와 함께 2022년 말 기준 전국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약 2만㎞의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해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기반요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밀도로지도 제작 과정

정밀도로지도(축척 1:500)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 도로와 주변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노면선표시(차선, 정지선 등), 안전표지판, 신호등, 노면표시(화살표, 횡단보도 등) 등 14종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정밀도로지도의 기본형태인 벡터데이터와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해 취득하는 점군데이터(Point Cloud), 사진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정밀도로지도는 기상 악천후, GPS 수신 불량 등의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더·라이더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한 센서 탐색거리(일반적으로 100~150m)보다 먼 거리 도로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자율주행 센서를 보완한다.

또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의 공통 저장소 개념으로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동적지도(LDM)에서 기본지도로 활용해 자율주행을 위한 C-ITS 정보제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국토교통부가 국내 최초로 자율협력주행 대중교통 시연에 성공한 자동차.

국토부는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 안전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의 판단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4~5) 상용화에도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동안 정밀도로지도는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시연(현대자동차 등), 도심형 자율주행차 개발(서울대), 판교 자율주행 순환버스 운행(경기도,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 세종·인천공항 자율주행버스 시범운행(세종,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을 지원했다.

지난 8월 기준으로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1천200여개 관련 기관·기업 등에 약 1만8천여건을 제공했다.

또 국가기본도(1:5만) 수시수정, 일반국도 도로대장 갱신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자율주행 외에 다른 분야로 활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 와 군도까지 추가로 구축하는 등 구축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정밀도로지도 제도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올해 말까지 작업규정과 표준을 정비해 고시·공고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관리관은 “정밀도로지도는 앞으로 레벨3 이상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는데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국토부는 정밀도로지도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구축된 지도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