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0만명 T맵에 비춰진 생활 변화 기록 ‘눈길’

T맵 트렌드맵 2020 첫 발간...코로나 이동행태 주목

방송/통신입력 :2020/09/28 09:24

SK텔레콤이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으로 축적한 이동 데이터를 통해 ‘T맵 트렌드맵 2020’을 발간한다고 28일 밝혔다.

SK텔레콤은 T맵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화, 소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주목했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소재를 에피소드 형태로 쉽게 설명하고 이용자가 즐겨 찾는 현지인의 맛집을 지역별로 소개하는 등 세대, 계층, 관심사 별로 각기 다른 이동 취향 분석 결과를 담았다.

특히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우리 국민의 이동행태의 변화가 크게 변화한 점을 담았다.

트렌드맵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으로 극장 이용은 크게 감소한 반면 차량으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자동차 극장 이용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에 멀티플렉스 극장을 찾은 사람은 1월 대비 86% 급감했으나, 자동차 극장을 찾은 사람은 165% 증가하는 등 코로나 19 상황에서 국민들의 문화생활 소비 방식이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이브 스루 이용 추이 분석을 통해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새로운 식생활 변화도 엿볼 수 있다.

코로나19 확산 전 60만 건 수준이었던 드라이브 스루 이용 건수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한 3월부터 이용량이 급증해 6월 기준으로는 100만건 수준으로 이용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를 제고한 사례도 함께 소개했다.

T맵 은 지난 4월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한 이후 높은 사고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과속 및 급감속, 급가속 건수가 가장 많았던 10곳을 선정해 민식이법 시행 전인 3월과 6월의 통행량과 과속 건수를 비교한 결과, 과속 건수가 가장 많았던 10곳의 통행량 자체는 16.6% 증가했지만 과속 건수는 약 4천500건이 감소해 통행량 대비 과속 비율이 5.0%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습관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운전습관과 주행 이력을 분석, 활용해 교통사고와 환경 오염을 줄이는 등 약 1천475억원에 달하는 사회적 비용의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관련기사

지난 2018년 상용화된 V2X 서비스는 전방 차량의 급정거를 인식해 후방 1km 이내에 있는 차량에 급정거 상황을 알리는 기능과 응급차량 전방 2km 이내에 있는 차량에 이동 유도 메시지 전달을 통해 응급 환자의 이동과 사고 예방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호 SK텔레콤 모빌리티사업단장은 “T맵 트렌드맵 2020에서 이동 데이터를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로 분석해 국민들의 모빌리티와 관련한 생활 속 변화를 담았다”며 “앞으로도 T맵 플랫폼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모빌리티 사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