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경쟁력인 사회가 열렸고, 인공지능과 네트워크가 결합된 새로운 산업이 미래의 먹거리가 됐다.”
14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국민보고대회’ 기조연설에서 언급한 것처럼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한국판 뉴딜의 핵심 과제로 꼽혔다.
한국판 뉴딜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경제의 가능성을 보고 시작됐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충격이 이어진 반면 디지털 비대면 서비스는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디지털 경제 전환에 따른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는 키우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한국판 뉴딜 정책 탄생의 주춧돌이 됐다.
이날 최종적으로 발표된 한국판 뉴딜의 핵심 과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와 민간, 정당이 협업을 통해 여러 뉴딜 정책 세부과제 중에서 경제 파급력이 크고 지속 가능한 대규모 일자리 창출, 민간 투자 파급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10개 대표 과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에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첫 번째 대표과제로 꼽힌 ‘데이터 댐’은 인공지능과 데이터를 중시하는 한국판 뉴딜의 핵심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
문 대통령은 종합계획 발표에 앞서 지난달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더존비즈온을 찾아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며 강조하기도 했다.
데이터 댐 과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고 거래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사업이다. 예컨대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늘리고 공공데이터 14만여 개를 개방한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도 1천300종을 구축한다.
이같은 데이터 구축 사업은 5G 네트워크와 결합해 5G와 인공지능 융합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표다. 인공지능 융합은 스마트팩토리, 미세먼지 정화, 신종 감염병 예측, 범죄 예방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식이다.
정부 행정에 인공지능을 전면으로 내세우는 지능형 정부가 데이터 댐에 이어 두 번째 대표과제로 꼽혔다. 5G와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똑똑한 정부를 만들겠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 디지털 경제 구축하고, 저탄소 경제 서두른다2020.07.14
- 文 "한국판 뉴딜에 160조 투입, 일자리 190만개 창출”2020.07.14
- 文대통령 "한국판 뉴딜로 대전환, 새로운 100년 설계”2020.07.14
- 정부, 디지털 뉴딜에 25년까지 58조원 쏟는다2020.07.14
모바일 신분증과 같은 비대면 맞춤행정을 늘리고 39개 중앙부처 청사에 5G 국가망을 구축한다. 블록체인 기술도 복지급여 수급관리, 온라인 투표 등에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스마트 의료 인프라 과제는 입원환자를 ICT로 모니터링하고 의료기관 간 협진이 가능한 스마트병원 구축과 함께 인공지능 기반으로 정밀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실증 사업 추진이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