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6개 분야 8개 과제 선정

과학입력 :2020/06/11 12:00

병원에서 처방받은 자신의 데이터를 활용해 질병을 예측하고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의료·금융·공공 등 6개 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과제 8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정보 주체를 중심으로 한 개인 데이터 활용 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데이터를 유통·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실증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플랫폼 설명.(사진=과기정통부)

지난 3월부터 진행된 실증서비스 과제 공모에는 200여개 이상의 기업 등으로 구성된 31개 컨소시엄이 신청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중 의료 금융 공공 교통 생활 소상공인 등 6개 분야의 8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공모에 선정된 평화이즈 컨소시엄은 의료 분야에서 개인의 건강검진 및 의료 처방 데이터를 앱을 통해 관리하고, 맞춤형 홈케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서울·인천 성모병원과 경희의료원 등이 보유한 건강검진 결과 및 처방전 등의 데이터를 개인이 통합·관리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검진 및 처방전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해 질환별 특성에 맞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 분야에서는 농협 컨소시엄이 금융(저축·투자 이력, 계좌 이력) 및 비금융(소비 이력)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개인정보 저장소에서 통합·관리하고, 이를 원하는 기업에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한다.

개인은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보상(NH포인트)을 받는다. 기업은 받은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등을 개발할 수 있다.

공공분야에서 선정된 서울특별시 컨소시엄은 서울시 내 버스, 지하철, 택시 등 개인의 공공 교통 이용내역을 한눈에 확인하고, 안전한 공공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교통 마이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서울시는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중교통 혼잡도 관리, 방역 관리 등 공공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밖에도 ▲운전습관·주유·정비 등 차량 데이터를 통합·활용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플랫폼(핀테크 컨소시엄) ▲상가 임대료, 권리금 등 소상공인 데이터를 통합하고, 대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소상공인 마이데이터 플랫폼(소상공인연합회 컨소시엄) 등이 구축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유통·활용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의 시대로 본격 진입했다”며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시도되는 분야별 마이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데이터 활용에 대한 보상을 받고, 기업은 새로운 데이터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