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사과문을 발표한 것과 관련, 재계는 "국내 재벌가에서 파격적으로 진일보한 사과"라며 "글로벌 환경에서도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부족해보인다"는 평가도 나왔다.
이 부회장은 이날 오후 3시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권고에 따라 사과문을 발표했다. 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고, 노동 3권을 철저히 보장하며, 국격에 맞는 삼성으로 거듭나겠다는 게 골자다.
준법감시위 권고에 따라 ▲과거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준법의무 위반 ▲노동 관련 준법의무 위반 ▲시민사회 소통 부족 등 대해 이 부회장이 직접 답을 한 것이다.

경영권 불승계 발언과 관련,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자녀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공식화 한 것은 국내 재벌가에서 진일보한 사과로 보인다"며 "승계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다른 그룹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시간을 두고 지켜볼 문제이지만 (여러 모로)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이 정도 수위의 언급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전자업계 한 관계자는 "원론적인 메시지는 명확하지만 이를 뒷받침 할 구체적인 방법론은 부족한 것 같다"는 평가를 내놨다.
카이스트 경영학과 이병태 교수는 "편법 상속은 삼성만 그런게 아니라 중견기업 이상 모든 기업이 거의 비슷하다"며 "경제를 자꾸 정치화해서 기업에 사회적, 경제적 압력을 가하는 것은 좋은 일 아니다"고 평가했다.
노동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부회장이 사실상 '무노조 경영 폐기'를 선언하고 건전한 노사문화를 지향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오 소장은 "노사 문제는 삼성이 실제 실행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며 "문제가 복잡하고 다각적인 만큼 진정성 있는 사과였다고 하더라도 향후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하지 않은 것은 다소 아쉽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신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해 한 차원 더 높게 비약하는 새로운 삼성을 꿈꾸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이 나오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시스템 반도체 1위 도약을 목표로 반도체 비전 2030 전략을 발표했고, 올해 1분기 시스템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며 "삼성전자가 초격차 전략을 통해 반도체 사업의 혁신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행보를 계속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재용 사과문 전문] "자식에 경영권 물려주지 않겠습니다"2020.05.06
- 이재용 "국격에 맞는 새 삼성 만들겠습니다"2020.05.06
- 이재용 "자식한테 경영권 물려주지 않겠습니다"2020.05.06
- 이재용 부회장, 오늘 경영승계 문제 '대국민 사과'2020.05.06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미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퀀텀닷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밝혔고, 이와 관련된 준비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며 "대외적인 환경은 코로나19로 인한 전방 산업의 위축으로 불확실성이 높지만, 삼성은 지속해서 퀀텀닷 등 혁신 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된다"고 전했다.
재계 관계자는 "준법감시위원회가 요구한 경영 승계, 노조 문제 등에 대해 당초 예상보다 전향적인 입장을 밝혔고 글로벌 환경에서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지만 향후 구체적인 실천 방향 등 로드맵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