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코로나·비수기 여파로 영업익 50% 하락

車배터리·ESS·OLED소재 판매량 감소

디지털경제입력 :2020/04/29 13:23    수정: 2020/04/29 13:34

삼성SDI가 지난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계절 비수기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하락한 영업실적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1분기 매출이 2조3천975억원, 영업이익이 54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4.6% 감소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5.0%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68.7% 늘었다.

전지(배터리)사업부문 매출은 1조7천936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18.8% 감소했다. 계절적 비수기에 들어선 자동차용 배터리 판매량이 줄었고, 에너지저장장치(ESS)도 국내 수요 약세로 판매가 저조했다.

소형배터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원형 배터리 판매가 감소했다. 다만, 폴리머 배터리는 주요 고객의 신규 완제품 출시 효과로 시장 약세에도 매출을 유지했다.

(자료=삼성SDI)

전자재료사업부문 매출은 6천20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반도체 소재는 D램 수요 증가로 판매가 견조했고, 편광필름도 대형TV 중심으로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 그러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는 수요 약세로 매출이 감소했다.

2분기 전망을 살펴보면, 우선 중대형전지는 ESS 중심으로 1분기 대비 매출이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삼성SDI 관계자는 "자동차 배터리는 1분기 수준 매출을 유지하고 ESS는 해외 전력용 프로젝트 중심으로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소형전지는 전동공구와 청소기 등에 들어가는 원형전지 판매를 회복, 폴리머는 스마트폰 시장 약세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전자재료사업부문은 전분기 수준의 매출을 유지할 전망"이라며 "디스플레이 소재는 전방 수요 약세가 예상되지만, 반도체 소재는 서버용 D램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