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 대리점-집단상가, 코로나19 피해 해법 놓고 이견

'비대면 개통' '전산 시간 단축' 두고 의견 엇갈려

방송/통신입력 :2020/03/16 17:15    수정: 2020/03/17 09:48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동통신 유통업계가 대리점(일반 유통점)과 집단상가로 나뉘어 서로 다른 주장을 내놓고 있다. 업계가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지 못하면서, 정부 역시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확정해 내놓지 못하고 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리점과 집단상가는 급격히 줄어든 내방객 탓에 유통망 전체가 위기를 겪고 있다는 점에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비대면 개통 확대’와 ‘전산 시간 단축’을 두고는 의견이 엇갈렸다.

‘비대면 개통 확대’는 일반 대리점에도 URL이라 불리는 온라인서식지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개통할 수 있도록 허용해달라는 내용이다. 현재 오프라인 매장에서 단말기를 개통하기 위해서는 신분증 스캐너를 통한 본인 인증 절차가 필수다. 카드나 공인인증서, 문자메시지 등 비대면 방식을 통한 개통은 온라인 판매점만 가능하다.

서울 시내 집단상가의 모습.

비대면 개통을 확대해 달라는 주장은 집단상가를 중심으로 제기됐다. 집단상가는 코로나19이 후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방문객이 크게 줄었고, 온라인 판매점 중심의 단말기 개통이 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온라인 판매점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 놓인 오프라인 유통점을 위해 비대면 개통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집단상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판매점의 단말기 개통이 크게 늘면서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프라인 유통채널에도 비대면 개통을 허용해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리점은 비대면 개통 확대가 골목상권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과 시장 혼란을 조장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반대했다.

일반 유통점 관계자는 “비대면 개통이 확대되면 가뜩이나 줄어든 내방객이 온라인을 통한 개통으로 빠져나가 골목 상권은 더욱 위협받게 될 것”이라며 “단속이 어려운 온라인 중심의 개통이 확대되면서 유통 시장의 혼란이 커질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한 통신사 대리점의 모습.

전산 시간 단축을 두고도 대리점과 집단상가는 사뭇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전산 시간은 신규 및 기기변경의 경우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번호이동의 경우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전산을 단축 운영하자는 주장은 이동통신 3사로부터 비롯됐다. 수년 전부터 전산 시간 단축을 주장했던 대리점 측은 이에 찬성하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집단상가는 시기상조라며 망설이고 있다.

집단상가 관계자는 “온라인 판매점을 통한 개통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전산 시간 단축을 얘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현시점에 전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오프라인 중심의 대리점과 집단상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 주장”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대리점과 집단상가의 주장이 엇갈리면서 유통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에도 제동이 걸렸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유통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간담회를 열고 사업자들의 의견을 청취했지만, 단순한 방역용품 및 액세서리 등 일차원적인 지원 방안만 확정해 시행하기로 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집단상가를 중심으로 비대면 개통을 확대해달라고 요청이 있었지만, 일반 판매점에서는 반대하는 입장도 있는 만큼 해당 내용을 내부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라며 “전산 시간 단축과 관련해서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는 만큼 어떠한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