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대에도…영국, 화웨이 5G 장비 도입한다

영국 국가안보회의 최종 결론...비핵심 분야 35% 점유율 제한

방송/통신입력 :2020/01/29 10:00    수정: 2020/01/29 10:02

영국 정부가 5G 통신망 구축에 중국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중국과 무역분쟁을 겪고 있는 미국이 동맹국에 화웨이 장비 배제를 요구했지만 우방국 우선 순위에 있는 영국이 반기를 든 셈이다.

화웨이는 영국의 5G 구축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민감한 네트워크 핵심 부문을 제외하고 비핵심 부문에서 점유율 35% 이하의 조건으로 참여하게 됐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씨넷에 따르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국가안보회의(NSC)를 열어 이같은 최종 결론을 내렸다.

영국 NSC는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지만, 비핵심 분야 35%의 시장 점유율 제한 외에 군사 시설, 핵시설 지역에는 화웨이 장비를 제한키로 했다.

화웨이 영국 지사의 빅터 장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화웨이가 5G 구축에서 고객과 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영국 정부가 확인해준 것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됐다”면서 “화웨이는 네트워크 신뢰성과 혁신 분야에서 공정한 시장 경쟁을 보장하는데 동의한다”고 밝혔다.

영국의 결정에 미국의 반발이 예상된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 장비를 활용해 중국 공산당이 군사 기밀에 접근할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미국 정부와 화웨이 갈등은 사실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것이지만, 미국 정부는 표면적으로 안보 위협을 내세워왔다. 안보론을 내세워 우방국까지 화웨이 장비 도입 배제를 요구하고 자국에서는 화웨이 장비 사용 국가와 정보 공유를 금지하는 법안이 의회에서 발의되기까지 했다.

관련기사

특히 영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어권 5개국이 참여하는 ‘파이브 아이즈’ 군사 동맹에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영국은 다른 나라보다 미국의 화웨이 장비 도입 금지 요구를 강하게 받은 국가다.

미국 공화당의 톰 코튼 상원의원은 영국 정부의 결정을 두고 트위터에 “화웨이가 영국의 5G 네트워크 구축을 허용하는 것은 냉전시대 KGB의 전화망 구축을 허용하는 것과 같다”면서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