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 베트남에 '탄소제로섬' 구축한다

꽝응아이성 소재 '안빈섬'…현지 친환경·사회적가치 창출

디지털경제입력 :2019/11/14 14:32    수정: 2019/11/14 14:48

SK이노베이션이 해수담수화 플랜트 업체와 손잡고 베트남에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 구축을 추진한다.

SK이노베이션은 14일(현지시간) 두산중공업, 소셜벤처 파트너 '인진', 베트남 파트너 '빈그룹', 베트남 꽝응아이 성(省) 정부와 '친환경 사회적 가치 창출·확산을 위한 다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부이티퀀번 꽝응아이성 의회 의장, 응원땅빈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지동섭 SK이노베이션 DBL 위원장, 정연인 두산중공업 대표, 인진 성용준 대표, 보광훼 빈그룹 보광훼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협약에 따라 1차적으로 꽝응아이 성정부와 한국-베트남 기업 간 협력을 바탕으로 안빈섬에 다양한 친환경 기술들을 보급한다.

안빈섬은 인구 500명, 69헥타르(ha) 규모의 작은 섬이다. 이들 기업은 안빈섬이 지닌 천혜의 자연을 보호하고 지역주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탄소제로섬'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친환경 산업 생태계 조성 노하우를 기반으로 친환경 사회적가치 창출에 공감하는 파트너들을 추가로 확보해 안빈섬에서의 성과를 베트남 전역으로 확산할 방침이다.

SK이노베이션은 2010년 말부터 꽝응아이성에 위치한 베트남 최초 정유공장 'BSR(Binh Son Refining & Petrochemical)'의 초기 운영과 유지보수 등을 지원해 왔다.

두산중공업 역시 2009년 꽝응아이성 융꿕 경제지구에 두산비나 현지법인을 설립, 2012년 안빈섬에 해수담수화 설비를 지어 기증하는 등 활발한 현지활동을 진행 중이다.

(사진=SK이노베이션)

오랜 기간 이어져온 꽝응아이성과 양사의 관계가 이번 협력에서 성 정부를 포함해 다양한 파트너들과 빠르게 의견을 모으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SK이노베이션은 베트남 도서지역 쓰레기 문제에 집중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또 꽝응아이 성정부와 함께 가로등과 관공서 조명을 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로 교체하고, 태양열 조리기구인 '솔라쿠커(Solar Cooker)'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친환경 설비를 보급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해수담수화 기술을 바탕으로 안빈섬 주민들에게 깨끗한 생활용수가 지속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해수담수화 설비의 유지와 보수를 지원한다.

친환경 연안 파력발전기술을 보유한 소셜벤처 인진은 내년까지 안빈섬에 50~100킬로와트(kW)급 파력발전시설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안빈섬의 전력 및 디젤발전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나아가 3천400킬로미터(km)의 긴 해안선과 풍부한 파력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베트남 지형 특성을 활용해 파력발전을 태양광·풍력에 이은 제3의 재생에너지 옵션으로 안착하겠다는 목표다.

SK그룹의 베트남 파트너사인 빈그룹은 자회사인 베트남 최초 자동차 제조기업 빈패스트(VinFast)를 통해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전기스쿠터 20여대와 충전시설을 안빈섬에 기증한다. 향후 꽝응아이성과 협의를 통해 안빈섬의 모든 오토바이를 전기스쿠터로 교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MOU에 참석한 꽝응아이성 응원땅빈 부위원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안빈섬 환경오염을 완화하고, 주민들의 정신·물질적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SK이노베이션을 비롯한 각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돼 꽝응아이성을 위한 또 다른 협력 사업의 밑바탕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지동섭 SK이노베이션 DBL 위원장은 "안빈섬을 탄소제로섬으로 만드는 것에서 출발한 이번 협력이 친환경·사회적 가치 창출의 성공 모델이 돼, 안빈섬을 넘어 꽝응아이성 전체 친환경 산업 생태계 조성에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며 "안빈섬 모델이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섬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연인 두산중공업 대표는 "2012년 마실 물이 나오지 않는 낙도인 안빈섬에 해수담수화 설비를 기증하며 섬 주민들의 500년 숙원을 풀어준 바 있다"며 "안빈섬 주민의 삶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이번 탄소제로섬 MOU에 적극 참여하고, 앞으로도 지역사회 기여를 위한 다양한 CSR활동을 지속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