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파우치필름 국산화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당분간은 일본 주요 생산업체로부터의 수입에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앞으로 국내 업체들과 협력해 국산품 품질을 제고할 방침이다.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사장)은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콘퍼런스 'KABC 2019'에서 "현재 테스트 중인 업체 외에도 국내 업체들과 함께 국산화를 시도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감싸는 재료인 배터리 파우치필름은 현재 일본 DNP와 쇼와덴코 두 회사가 글로벌 시장 점유율 70%를 과점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본격화하면 파우치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LG화학에 영향이 미칠 우려도 있다.
김 사장은 "DNP와 쇼와덴코는 모두 자율준수프로그램(ICP)에 가입이 돼 있는 업체라서 일본 정부가 이야기하는 원칙대로 (수출을) 한다면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다만 일본 정부가 또 마음만 먹으면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는 게 우려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인증하는 ICP 기업은 수출업자가 특별일반포괄허가 대상인 업체를 의미한다. 일본이 이날부터 우리나라를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면서 일반 기업들이 수출을 하려면 '개별허가'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ICP 기업이라면 개별허가를 면제받을 수 있어 수출 과정이 간소화된다.
관련기사
- LG화학, 배터리 협력사 평가에 '지속가능경영' 항목 도입2019.08.28
- 니켈 함량을 높여라…전기차 배터리 대세는 'NCM523'2019.08.28
- BMW i3 고객이 썼던 배터리팩, 공공 전기차 충전에 쓰인다2019.08.28
- 비야디, 2022년 배터리 사업 분사...대외 사업 확대2019.08.28
LG화학은 일본의 수출 규제 범위가 배터리로 확장될 가능성에 대비해 현재 국내 업체들과 파우치필름 국산화에 집중하고 있다. 김 사장은 "율촌화학, 한국알루미늄 등과 협력 중"이라며 "특히 율촌화학은 파우치필름을 제조해 중국에도 수출하는 업체"라고 말했다.
이어 "(국산품은) 일본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것도 단점"이라면서 "국내 업체들은 제품 품질에 자신감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기 때문에 당사가 검증에도 참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