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부문별 긴급 경영회의 잇따라 주재

부품부터 세트까지 전 사업부 비상경영

디지털경제입력 :2019/07/17 16:08    수정: 2019/07/18 10:30

지난주 5박6일 일본 출장을 다녀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행보가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 13일 반도체, 디스플레이 경영진과 긴급 회의를 진행한 데 이어, 이르면 18일부터 모바일, 가전 부문 경영진과 긴급 경영전략회의를 열 계획이다.

일본 정부의 핵심 소재 수출 규제가 길어지고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하반기 사업 전략을 큰 폭으로 수정해야 하는 까닭이다.

지난 7일 일본으로 출국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뉴스1)

7일 일본으로 긴급 출국했던 이재용 부회장은 당초 알려졌던 2박3일을 훌쩍 넘긴 12일 귀국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귀국 다음날 13일 화성 사업장에서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과 진교영 메모리사업부 사장, 강인엽 시스템LSI사업부 사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등과 긴급 사장단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이 부회장은 "단기 현안 대체에 급급하지 말고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의 큰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며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흔들리지 않고 시장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자"고 당부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작업을 실행에 옮기는 가운데, 이 부회장은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 마련을 주문했다.

그는 특히 “반도체는 물론이고 휴대전화, TV 등 삼성전자가 만드는 전 제품에 미칠 파장을 점검하고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의 모든 사업부로 무역분쟁 영향이 확대될 것에 대비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열릴 IM부문과 CE부문 긴급 회의도 이같은 맥락에서 열린다.

일본 정부는 앞서 지난 4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핵심소재 3개 품목(불화수소, 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사전 수출심사)를 내린 바 있다. 또 도쿄 경제산업성에서 열린 한국과 일본 양국의 양자협의에서 한국을 무역규제 상 우대조치 대상국가인 '백색국가'에서 추가로 제외하겠다는 방침까지 언급하는 등 규제 강도를 높일 태세다.

백색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할 경우 첨단제품 소재와 전자, 통신 분야 등 1천100여개 품목의 수급이 난항을 겪을 수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뿐 아니라 스마트폰, TV, 가전 등 완제품의 사업도 차질을 빚게 된다.

IM부문의 경우 고동진 IM부문장과 노태문 무선사업부 개발실장, 노희찬 경영지원실장 등이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석 CE부문장을 비롯한 가전사업부 사장단이 참석하는 회의도 열린다.

삼성전자 IM부문은 지난 1분기 매출 27조2천억원, 영업이익 2조2천7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35% 가량 줄어들어 수익성 위기를 겪고 있다. 2분기도 2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증권가는 1조8천억~2조2천억원 수준으로 예상한다. IM부문은 갤럭시S10 및 갤럭시노트10 등 플래그십 제품으로 수익성을 높이고, 갤럭시A 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의 판매량을 늘려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 규제에 따른 생산 차질로 기존 전략의 유효성이 불투명해졌다.

이 부회장은 다가올 회의에서 향후 수출 규제에 따른 사업부별 점검 내용을 보고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의 강대강 대치 속에 삼성전자를 비롯한 관런업계는 규제 항목의 재고 및 대체공급처 확보와, 국산화 투자 등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한국 정부는 소재 부품 국산화에 매년 1조원씩 총 6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제3국 우회 수입 방안의 경우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러시아, 중국 등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다.

관련기사

일본 닛케이는 "삼성전자가 일본산이 아닌 불화수소를 반도체 제조공정에 활용하기 위해 품질 시험에 착수했다"며 "삼성전자 측은 조달처를 밝히지 않지만 한국, 대만, 중국 기업 제품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또 삼성전자가 간부를 중국, 대만 등에 파견해 대체품 조달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실제 공정 활용 여부에 대한 판단까지 2~3개월이 걸릴 전망"이라며 "결과에 따라 한국 반도체 업계의 일본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