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권봉석 기자) 전주시가 드론축구 등 관련 산업 육성과 함께 지난해 한 차례 추진했던 드론산업 진흥기관 유치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국제박람회 3일차인 7일, 전주시 관계자는 시의 차세대 산업으로 떠오른 드론과 드론축구, 관련 기반 산업 육성을 통해 성과를 다지면서 '드론산업진흥법' 개정안을 통해 관련 기관 설치 근거를 법적으로 마련하겠고 밝혔다.

김승수 전주시장과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의원)도 '2019 드론산업 국제박람회' 개막식에서 이같은 방침을 분명히 했다.
■ 전주시 "드론축구 통해 산업 기반 다질 것"
전주시는 현재 관광·서비스 산업 이외의 성장동력으로 드론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드론축구 보급에 따른 제품과 서비스 수출을 통해 장기적으로 1억 달러(약 1천150억원) 수출을 목표로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2018 국제 3D프린팅·드론 엑스포' 당시 박순종 전주부시장(권한대행)은 개회사에서 “전주시는 향후 10년 먹거리 산업으로 3D프린팅과 함께 드론축구 표준화, 전국 보급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년여가 지난 7월 현재 유소년 팀과 성인 팀 등을 포함해 전국에 200여개 팀이 결성된 상태다. 또 올 상반기에는 일본에 탄소 소재를 결합한 드론축구공 2천대와 부품 등 총 200만 달러(약 22억원)를 수출했다.
■ 정동영 의원 등 드론산업진흥법 발의
전주시는 드론축구 보급에 이어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책 기관 유치도 함께 진행해 왔다. 전북 전주시에 지역구를 둔 '드론법' 주역 정동영 의원 역시 이런 움직임에 앞장서 팔을 걷었다.
정동영 의원은 지난 해 4월 "드론을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전주시에 드론산업기술진흥원을 세워야 체계적으로 드론산업 생태계 구축을 리드할 수 있다"고 강력한 의지를 밝힌 데 이어 6월에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드론산업육성법(일명 드론법)'을 대표 발의했다.

민주평화당을 이끌고 있는 정동영 의원을 포함해 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등 국회의원 16명이 발의한 이 법은 국토부 장관이 5년마다 드론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또 드론 관련 인허가 등을 한시적으로 유예, 간소화하는 드론특별자유화구역, 드론교통관리시스템 구축과 드론 운영 거점이 될 수 있는 드론산업 발전특구, 드론시스템의 국산화와 드론강소기업 등 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는 법적 근거도 포함됐다.
■ 전주시, 투트랙 전략으로 기관 유치 재도전
실제로 드론산업진흥법이 지난 4월 발의 8개월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전주시의 드론 관련 기관 유치는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전주시는 드론산업기술진흥원을 신설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드론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 간 의견조율, 주도권 다툼, 각종 이해관계가 난립 등 여건이 여의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5일 김승수 전주시장은 "정동영 의원이 드론산업진흥원 설립을 위해 동분서주해 주셨고, 또 다짐을 해주셨기 때문에 큰 힘이 되고 있다"면서 "드론산업진흥원 유치는 여전히 진행중이며 이에 찬성하는 인사들이 입법부와 행정부에도 많다"고 밝혀 재도전 의지를 명확히 했다.
관련기사
- 전주시 "드론축구 육성으로 1억 달러 수출 달성"2019.07.06
- [영상] 전주 하늘 수놓은 드론 군집비행쇼 '2019 전주 드론산업 국제박람회'2019.07.06
- 드론봇 전사 매년 1천명 양성... 4차산업혁명시대 드론강군 부상 목표2019.07.06
- 육군·대한항공 국방 무인기 대거 출품, 드론축구 '눈길'2019.07.06

또 "드론축구는 공인구 판매로 드론의 산업화에 성공함은 물론 일본 등 해외 수출을 통해 레저스포츠는 물론 산업과 경제,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을 보였다. 가시적인 실적 달성을 통해 기관 유치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동영 의원 역시 5일 드론산업 국제박람회 개회식에서 "드론산업기술진흥원 전주 유치 내용을 담은 드론산업진흥법 개정안을 이번 정기국회 때 제출할 것"이라며 "한옥마을과 드론으로 상징되는 전주를 만들자"고 의지를 내비쳤다. 관련 기관 설치 근거를 신속히 법적으로 마련하겠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