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공사거래 많은 지역 '노원구·강서구'

집닥 서울 아파트 인테리어 수요 트렌드 결과

중기/벤처입력 :2019/06/25 09:19

인테리어 공사 거래가 가장 많은 구역은 노원구와 강서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인테리어 교체 수요가 높은 서울 시내 아파트는 2004년 준공된 송파구 문정동 문정래미안과, 2008년 준공된 송파구 장지동 송파파인타운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동산 거래 시장은 침체됐다고 하나, 인테리어 공사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테리어 중개 플랫폼 집닥(대표 박성민)은 25일 서울 아파트 인테리어 수요 트렌드를 공개했다. 이번 결과는 2016년 5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약 3년간 집닥 기업부설연구소의 서울 시내 아파트 인테리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해당 기간 집닥에 인입된 서울 시내 아파트 인테리어 견적 건은 공사계약일 기준으로 약 1천500여건 으로 집계됐다. 공사 거래가 가장 많았던 구역은 노원구와 강서구였으며 강남구와 송파구가 근소하게 그 뒤를 이었다. 이 4개구의 아파트 준공년도를 분석해보니 ▲10년 이상 20년 미만(40%) ▲20년 이상 30년 미만(38.7%) ▲30년 이상 40년 미만(14%) ▲10년 미만(4.3%) ▲40년 이상(3%) 순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 교체 수요가 높았던 서울 시내 아파트로는 송파구 문정동 문정래미안(2004년 준공)과 송파구 장지동 송파파인타운(2008년 준공),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1, 2차 아파트(1976년 준공)로 조사됐다. 아파트 인테리어 의뢰 평수별로는 약 99㎡(30평대) 40%, 약 66㎡(20평대) 28.6%, 약 33㎡(10평대) 6.5%, 약 165㎡(50평대) 3% 순이었다.

집닥은 이번 리포트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수도권 및 전국 기축아파트 준공년도를 확대 조사해 관련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집닥은 또 고객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아파트 인테리어 교체 시기도 분석했다. 입주 전 교체 69.1%, 거주 중 교체 30.9%였다.

관련기사

아울러 최근 1년 6개월간 고객의 아파트 인테리어 교체 동기를 분석한 결과 '내 집을 예쁘게 꾸미고 싶어서'가 75%, '세입자를 맞이하기 위해'가 25%로 나타났다. 해당 고객의 가족구성 조사에서는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핵가족 (47.3%)과 부부 및 2인 (31.1%)이 주를 이뤘다. 다음으로 1인가구 (12.3%)와 어르신, 자녀 포함한 대가족 (9.3%)의 수요도 확인됐다.

집닥 김종부 기업부설연구소장은 "이번 데이터 통계를 통해 최근 부동산 거래가 침체됐다는 업계 이슈와는 상반되게 인테리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며 "현재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기축아파트 외에 30년 이상 기축아파트 인테리어 수요도 확대되고 있어 주목해볼 만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