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블럭스 "이제 차선도 식별"...9세대 모듈 'ZED-F9K' 공개

자동차 시장 공략 강화..."기존 솔루션보다 성능 10배 향상"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9/05/24 10:29    수정: 2019/05/24 10:35

무선통신과 위치추적모듈 및 칩 분야 스위스계 글로벌 기업 유블럭스(u-blox)가 도심 차선까지 식별할 수 있는 자동차 시장에 특화한 9세대 고성능 모듈 'ZED-F9K'를 개발, 공개했다.

유블럭스는 23일 본사 알렉스 기(Alex Ngi) 제품담당 수석이 방한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ZED-F9K'의 주요 기능을 설명했다. 'ZED-F9K'의 샘플 공급은 오는 7월부터 이뤄진다.

회사에 따르면 관성 센서를 내장한 고정밀 멀티 밴드 GNSS(위성측위시스템)모듈인 'ZED-F9K'는 GNSS 수신 분야 최신 기술과 신호 처리 알고리즘 및 보정 서비스를 통합, 수십 센티미터(10분의 1 미터, 데시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수초 내에 제공한다.

알렉스 수석은 "자이로 센서 등을 장착해 일반 자동차에도 데시미터 수준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면서 "기존 표준 솔루션보다 10배 정도 높은 위치 측정(포지셔닝) 기능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알렉스 기 유블럭스 본사 제품담당 수석이 'ZED-F9K'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향후 자동차 시장의 지형을 바꾸어 놓을 자율차 시장을 겨냥해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변화하는 요구 조건도 충족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ZED-F9K'의 고정밀 추측 항법 모듈은 유블럭스 'F9' 기술 플랫폼을 토대로 개발됐다. 최신 GNSS 보정 서비스와 호환을 통해 전리층 및 기타 오차를 보정, 위치 추적 정확도를 개선했다.

L1, L2, L5 밴드 등 3개 밴드 신호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멀티 밴드 지원도 'ZED-F9K'의 특징 중 하나다. 받을 수 있는 신호 대역폭이 넓어져 그만큼 성능 개선이 이뤄졌다. 멀티밴드 및 다중위성(multi-constellation)을 지원하는 실시간 정밀측위시스템(RTK)수신 모듈을 갖춰 모든 궤도의 GNSS 위성으로부터 GNSS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수많은 가시 위성을 사용, 위성 신호가 부분적으로 차단된 상황에서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특히 모듈 내에 관성 센서를 통합, 이동 차량이 주차장이나 터널, 빌딩 숲 같은 나쁜 환경에 들어가도 지속적으로 궤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알렉스 수석은 "GNSS 기술과 보정 서비스 및 관성 센서 분야 최신 기술 접목으로 포지셔닝 성능을 크게 높였다"면서 "차선 구분이 가능한 수준의 정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헤드유닛(HU) 과 첨단 내비게이션 시스템뿐 아니라 ADAS 및 자율 주행 분야 요구도 충족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ZED-F9K의 특징인 높은 정확도와 낮은 지연속도는 차량 OEM 및 1차 벤더(Tier 1)의 V2X 통신 시스템에 이상적인 조건"이라면서 “ZED-F9K는 현재와 미래의 커넥티드 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턴키 방식의 고정밀 GNSS 솔루션"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신제품 공개와 관련해 손광수 유블럭스 한국지사장은 “유블럭스는 이미 많은 국내 OEM 및 1차 벤더에 제품을 공급,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면서 "다양한 V2X 및 자율주행차 선행 개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손 지사장은 'ZED-F9K'가 자동차에 특화됐다는 점에서 지난해 나온 제품과 다르다면서 "유블럭스는 매년 한번 신제품을 내놓을 만큼 기술중심회사로 F9K의 9는 9세대를 의미한다"면서 "이번 ZED-F9K 공개 및 출시를 통해 기존 고객사에 차원이 다른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고, 신규 고객사에는 새로운 비지니스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위스에 본사가 있는 유블럭스는 지난해 매출이 393만3000 스위스프랑이고 세계 66개국에 진출했다. 직원은 1000명이 넘는다. 이중 68%가 기술 및 연구개발에 종사하고 매출의 19% 정도를 연구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손광수 유블럭스 한국지사장이 신제품을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