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수출강화 등 목적에 추경 4378억원 편성

산업위기지역 지원·미세먼지 저감·일자리 예산도 포함

디지털경제입력 :2019/04/24 10:43    수정: 2019/04/24 10:44

정부가 조선, 자동차 등 국내 주요 산업의 어려움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해 4천억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안)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24일 산업위기지역 지원과 수출경쟁력 강화,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28개 사업과 4천378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마련,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사업 항목별 예산 편성 규모를 보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 452억원 ▲수출경쟁력 강화 1천868억원 ▲미세먼지 저감 950억원 ▲포항지진 복구지원 131억원 ▲일자리창출/인력 양성 977억원 등이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조선과 자동차 업종을 기반으로 한 지역의 조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2천402억원을 편성했다. 산업부는 이중 45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의 예산은 기자재업체 위기극복 R&D와 LNG화물창 건조 전문인력 양성,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지원, 알루미늄 소형선박 개발지원 등 신규 사업에 들어간다. 이밖에 자동차부품기업 활력 제고사업과 산업위기지역 투자기업 보조금에도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수출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무역보험기금에 1천700억원을 추가 출연한다. 무역보험기금을 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출계약기반 특별보증 ▲수출채권 현금화보증 ▲매출채권 현금화 보증 ▲중소조선사 RG 등 무역금융 지원이 신설, 보강된다.

산업부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수출바우처 108억원, 해외 전시회와 사절단 파견 60억원 등 맞춤형 해외마케팅 지원 예산도 확대한다.

미세먼지 저감 사업은 석탄발전소부터 전기차, 가스냉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다.

정부는 포항지역 경기회복을 위해 현장안전과 경영자금,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1천131억원을 편성했다. 산업부는 이중 131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포항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저소득층 가구의 단열과 창호, 바닥배관, 냉방기기 등 에너지사용환경 개선에 121억원을 투입한다. 포항 흥해읍 지열발전사업 부지 내 지진계측기 및 지하수 모니터링시스템 설치 등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10억원도 편성했다.

이번 추경안에는 광주에서 시작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확산시키기 위한 일자리 창출 및 인력 양성 예산도 포함됐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상생형일자리투자기업 보조금과 지역별 모델발굴˙컨설팅을 위한 사업에 228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미래산업 인력양성사업, 산단환경개선펀드, 규제샌드박스 신청 증가에 따른 운영 비용 증액 등에 예산을 투입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 추경안이 국회 심의를 통해 확정되는 대로 그 효과가 조속히 나타날 수 있도록 즉시 집행하고 그 관리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