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올해 3단계 검사 체계로 간다

상시감시·부문·종합검사로 연계

금융입력 :2019/03/14 17:11

금융감독원이 금융사의 불건전 영업행위를 상시 감시하고 테마와 종합검사도 병행하는 3단계 검사 체계를 올해 확립한다.

금감원은 14일 '2019년 업무계획'을 내고 상시 감시 후 현장검사로 연계해 부문검사와 종합검사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상시 감시에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대부업의 상시감시시스템을 구축하고 보험사 텔레마케팅에서 벌어지는 불완전판매를 잡아내겠다는 것이 금감원 측 설명이다.

또 은행·지주사 상시 감시 체계를 발전시키고 지배구조 전담검사반도 운영한다.

상시 감시로 적발된 불건전 영업행위나 금융사의 특정부문 쏠림현상으로부터 불거지는 잠재 리스크를 막기 위해 부문검사도 진행한다. 고객과 상품, 판매채널별 취약부문을 선정하고 분석해 불건전 영업행위가 높을 것으로 추측되는 부문을 중점 검사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금융회사의 신규 영업분야 및 투자행태 변화 등과 관련된 리스크 취약부문에 대해서도 중점 검사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최근 은행의 신규 대출 시장으로 꼽히는 '오토론(자동차 대출)'에 대한 쏠림현상 등을 사례로 거론했다.

금감원은 종합검사 시 수검기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발적 개선을 유도하는 '유인부합적 종합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부담 경감을 위해 종합검사 실시 전후 일정 기간 동안 부문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사전 검사 요구 자료는 최소화하겠다는 부연이다. 금융소비자 보호나 재무건전성, 지배구조 등을 감안해 평가가 취약한 금융사를 종합검사 대상으로 선정하며, 금융사 경영 개선에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