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1조8천억원억의 가계통신비 경감 효과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발표한 ‘2019년도 과기정통부 업무 추진계획’에서 2017년 소비자 물가지수는 102.9에서 지난해 104.5로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통신 물가지수는 100.4에서 99.5로 하락해 이 같은 가계통신비 절감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6월 5G 주파수의 조기 할당과 설비 공동구축, 활용제도 정비 등을 통해 이동통신 3사가 향후 10년간 최대 1조원 규모의 투자비 절감과 함께 5G 상용화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규제혁신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상반기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수립 이후 ‘데이터 축적→유통→활용’의 전주기 지원과 규제혁신을 통해 빅데이터 산업이 전년 대비 29% 성장했으며, ‘인공지능 R&D 전략’ 수립 이후 AI에 대한 R&D 투자가 2016년 1천300억원에서 2천700억원으로 증가했고 AI전문기업 수도 같은 기간 27개에서 43개로 늘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통신비는 내려야 하고 5G는 투자해야 하고2019.03.07
- “신뢰도 떨어지는 해외 통신비 비교 보고서”2019.03.07
- 통신비 이슈, 요금에서 단말 출고가로 중심 이동2019.03.07
- 노웅래·시민단체 "가계통신비 절감 8가지 대책 내놓겠다"2019.03.07
특히, 규제샌드박스 도입을 위한 정보통신융합법 개정을 통해 사업비 종이영수증 보관 폐지로 연간 4천800만건의 종이영수증 감축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측은 “앞으로도 어르신 요금제 등 각종 가계통신비 감면 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규제샌드박스의 본격적인 적용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의 신규 서비스 창출 노력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