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 KT “5G 플랫폼으로 인류 공영에 기여”

MWC 키노트로 5G 상용화 약속부터 인류 공영 제안

방송/통신입력 :2019/02/25 20:00

<바르셀로나(스페인)=박수형 기자> “5G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류 공영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

지난해에 이어 MWC 기조연설 무대에 다시 오른 황창규 KT 회장은 2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19 첫 컨퍼런스 무대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황창규 회장은 ‘마침내 5G와차세대 지능형 플랫폼을 실현하다’ 주제로 기조연설을 마쳤다.

황창규 회장은 이전 두 차례의 MWC 기조연설에서 황 회장이 5G가 만들어낼 멋진 미래를 기대하게 만들었다면 MWC 2019에서는 눈앞의 현실로 다가온 5G가 인류에 공헌하는 기술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G가 진정한 모바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실현시키고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등 사회적, 산업적으로도 깜짝 놀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의미다.

이날 황 회장의 기조연설은 대형 재난상황에서 5G 기술이 어떻게 생명을 구하는지를 보여주는 동영상으로 시작했다. 재난 발생 직후 스카이십이 5G 네트워크를 복구하고 AR글래스를 착용한 구조대원이 조난자를 구출하고 5G 망으로 최적의 구급차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식이다.

황 회장은 과거 2015년, 2017년 두 차례 기조연설에서는 가능성만 언급했다면 이제는 가능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B2B 분야의 혁신적인 성장이 5G를 통해 가능할 것이란 비전을 제시했다. 황 회장은 현대중공업이 5G에 연결된 AR글래스와 지능형CCTV로 안전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사례를 소개했다.

황 회장은 “최첨단 5G 네트워크로 제조업 패러다임에 파괴적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며 “KT는 중소기업을 위해 사용량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5G 스마트팩토리’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KT가 평창올림픽에서 자율주행 버스를 선보이고, 판교제로시티에서 ‘제로셔틀’을 운행했다”며 “화성 K-시티에서는 5G 기반의 응급 원격제어 기술인 ‘5G 리모트 콕핏’이 긴급상황에서 차량을 자율주행모드로 바꿔 운전자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고 구급차를 자동 호출해준다”고 설명했다.

ICT 기반 산업 외에 에너지, 환경, 보건 분야도 5G를 통한 변화의 가능성을 주목했다.

예컨대 에너지 분야에서는 KT 에너지 관제 플랫폼, 재난안전에서는 스카이십, 환경에서는 에어맵 코리아, VR 미디어에서는 라이브 미디어 플랫폼을 구체적 사례로 들었다.

나아가 인류의 고른 발전에 5G가 기여할 것이란 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황 회장은 “KT가 5G를 지능형 네트워크를 넘어 ‘5G 혁신 플랫폼’이라는 지금껏 없던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 있다”며 “5G 혁신 플랫폼은 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도입 및 사업모델 혁신을 가속화시키고, 각종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5G를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성과들이 모든 산업 분야와 개인에게 골고루 돌아가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금껏 상상으로만 가능했던 것들을 현실로 만들어줄 5G는 궁극적으로 사람을 위한 기술, 인류의 진보에 기여하는 기술이 돼야 한다”며 “현재 반도체가 한국경제를 견인하고 있지만 몇 년 안에 5G 기반의 서비스, 솔루션, 콘텐츠는 한국은 물론 글로벌 경제를 움직이는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