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금리인상에 웃고 채용비리에 울고

[이슈진단+] 2018년 결산…금융·핀테크

금융입력 :2018/12/14 10:20    수정: 2018/12/14 14:34

2018년 한 해 금융업계를 뒤흔든 핵심 키워드는 금리와 신뢰다. 가계대출 증가세도 지속된 데다 대출 금리도 오르면서 국내 은행들의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올초부터 불거진 채용비리는 연말까지 지속되고 있다. 신한금융지주의 조용병 회장이 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아, 금융지주사 회장으로는 처음으로 구속 갈림길에 서기도 했다.

금리와 신뢰는 비단 올해 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금융업권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내년에는 여기에 디지털과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쟁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국내은행들은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 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금융위원회는 내년 제3인터넷전문은행을 예비 인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은행업권에 새로운 '메기'가 탄생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대출 금리 부당 산정부터 채용 비리까지

지난 6월 은행업권을 뜨겁게 뒤흔든 이슈는 대출 금리 부당 산정이다. 당시 KEB하나은행·한국씨티은행·경남은행은 대출 금리를 부당하게 산출해 과도한 이자를 챙겨온 사실이 적발됐으며, 이 세 은행은 환급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5년 간 세 은행은 부당 대출 건수는 총 1만2천279건, 과도하게 받은 이자액 규모는 26억7천900만원이라고 발표했다.

이 때문에 금융감독당국은 대출 산정은 물론이고 기본금리 외에 은행 자의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가산금리 체계를 들여다보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금리는 은행이 마진과 비용을 감안해 내는 일종의 '가격표'인 만큼 획일적인 통제는 어렵지만, 대출 금리 부당 산정은 많은 은행 고객들의 공분을 불러 일으켰다.

검찰

채용비리 조사 역시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2017년 9월 우리은행을 시작으로 검찰 조사결과 KB국민은행·KEB하나은행·신한은행·부산은행 등의 채용비리 혐의점들이 적발됐다. 이중 신한금융지주의 조용병 회장은 신한은행장으로 재직했던 2015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전·현직 임원 자녀와 외부 추천 지원자들을 신입사원으로 특혜채용 하는 것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 회장은 금융지주사 회장으론 처음으로 구속 영장이 신청되기도 했다.

채용비리 근절을 위해 국내은행들은 채용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도 했다. 객관적인 서류에 근거해 인재를 뽑고, 만약 채용비리로 불이익을 겪은 피해자를 구제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맞게 올해 대부분 은행들은 필기시험 절차를 신설했다.

■ 이자 상승에 은행 수익성 호조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이익이 증가하면서 금융사들의 수익이 개선됐다. KB금융지주의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8천688억원으로 집계돼 올해에도 '3조 클럽(1년 순익이 3조원)'에 무난하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은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하나금융지주는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익(연결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한 1조8천921억원을 기록, 2005년 12월 지주사 설립 이후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우리은행 역시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 상승한 1조9천34억원을 기록, 사상 최고 실적이라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브리핑룸에서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1.50%에서 1.7

■ 기준금리 0.25%p 인상

한국은행은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지난 11월 30일 열고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연 1.75%로 운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은 2017년 11월 이후 1년 만이다. 당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주열 총재는 금융불안정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올렸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을 기점으로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도 올리는 분위기다. 기준금리 인상 폭보다 약간 높은 0.30%p 정도 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 은산분리 완화

찬·반 의견이 엇갈렸던 은산분리 완화 규제가 일부 완화됐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에 따르면 산업자본이 은행 지분을 현행 4%에서 34%까지 보유할 수 있다. 은산분리 규제 완화 대상은 법상이 아닌 대통령령(시행령)에 담기며, 경제력 집중 여부나 정보통신기술 비중에 따라 규제된다.

은산분리 규제 완화와 더불어 금융위원회가 인터넷전문은행을 추가로 인·허가 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금융위원회는 은행이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해 경쟁하는지 여부를 설문조사한 '은행 경쟁도 평가' 결과 '보통 이하'로 평가를 내렸다. 구체적인 시기는 나오지 않았지만 연내 인터넷전문은행 예비 인가 기준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 디지털 전환 뒤쳐질라…'잰걸음'

관련기사

국내은행들은 고객들이 대부분 자산을 디지털로 관리하면서 디지털 전환에 과감한 투자를 기획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2025년까지 약 2조원 규모의 예산을, 하나금융지주는 매년 5천억원을 투여한다는 계획이다. NH농협은행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의 투자는 물론이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랩(Lab)을 중심으로 은행 전반 업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지 등을 검토하고 있다. 신뢰와 투명성이 장점인 분산원장 기술을 통해 더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은행 직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