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카메라가 해킹당하고 몰카가 유출되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출되는 정보는 갈수록 늘어나고 분석기술은 날로 좋아지고 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개인이 인터넷에 공개하는 정보가 많아지고 분석기술이 좋아지면서 사생활이 위협받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곳은 역시 기술도 좋고 정보도 많은 페이스북과 구글이다. 이들은 사생활 보호 수준을 높이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또한 본인은 사생활에 민감한 사람이어서 본인의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걱정 없다는 사용자들도 많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누군가의 정보를 얻기 위해 그 사람의 지인이 공개한 글을 모두 모아 분석하면,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대부분 얻을 수 있는 수준에 이미 도달했다고 이야기한다. 심지어 신용카드 번호와 비밀번호를 맞추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한다. 웹은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기에 아무리 철저하게 자신의 개인정보 관리에 대해 노력한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많은 정보가 유출될 수밖에 없다.

과연 페이스북 같은 SNS를 분석했을 때 우리의 정보를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흥미로운 논문이 있다. 2009년 MIT의 카터 제니건(Carter Jernigan)과 베흐람 미스트리 (Behram Mistree)는 페이스북 사용자 4,000명의 프로필을 분석해 가장 은밀한 정보를 알 수 있는지 실험해 보았다. 누가 게이이고, 누가 그의 파트너인지 추적하는 프로젝트였다. 어느 누구도 스스로 게이라고 페이스북에 공개하지 않았지만, 오프라인으로 확인해보니 정확도가 78%였다고 공개해 SNS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문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페이스북을 이용하니 8개 주요 대학 학생들의 프로필 80%를 구축할 수 있었다는 외신 보도도 있었다. 지금은 당시에 비해 더 많은 정보가 페이스북에 쌓여 있고 분석 기술도 고도화되었기 때문에 성적(性的) 취향보다 더 은밀한 정보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성적 취향을 알 수 있을 정도면 나에 대해 모르는 정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SNS 업체와 이를 이용하는 기업만 빅브라더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국가 역시도 점점 빅브라더가 되고 있다. 정보력이 가장 앞서 있는 미국이 그중 선두에 있다. 미국은 20억 달러(2조 2,000억 원)를 들여 유타 데이터센터(UDC)를 건설했다. 각종 위성과 해저케이블 등을 통해 미국에 들어오는 인터넷 정보와 통신 기록 등 모든 디지털 정보를 저장한다. 천문학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 모든 데이터를 100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고 한다. MVR(Massive Volume Reduction)이라는 고성능 필터를 이용해 일반적인 내용은 버리고 특정 주제, 특정 인물에 관련된 내용만 실시간으로 집중 분석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페이스북, 구글, 야후를 비롯한 미국의 주요 인터넷 기업은 미국 정보기관이 쓸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는 이들이 제공한 계정을 통해 이용자 아이디, 이메일 주소, 계정을 만든 날짜와 시간, 최근 2~3일간 로그인 내용, 이용자 휴대폰 번호, 미니 피드, 글을 업데이트한 이력, 공유 또는 공지한 글, 게재한 글, 친구목록, 동영상과 사진, 개인적으로 주고받은 메시지, 페이스북에 접속한 컴퓨터 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인터넷 업체 뿐 아니라 하드웨어 업체를 통해서도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관련기사
- 유튜브 천하…우리는 왜 실패했을까2018.11.09
- 구글이 버린 카드, 구글 플러스2018.11.09
- 스마트폰, 북한 민주주의 이끌 수 있을까2018.11.09
- 요즘 뜨는 스팀잇이라는 이상한 플랫폼2018.11.09
독일 슈피겔지(Der Spiegel)는 미국 국가안보국(NSA) 내부자료를 인용하며 시스코, 화웨이, 삼성전자, 델, 웨스턴디지털, 시게이트, 맥스터 등에서 판매한 컴퓨터,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라우터 등에 자신들의 스파이웨어를 심어왔다고 밝혔다. 메인보드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오스(BIOS)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화웨이, 삼성전자 등의 업체들은 자사의 제품에 스파이웨어가 심어져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고 전했다.
사생활 보호에만 너무 신경 쓸 경우 기술발전과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없다. 기술의 부작용을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기술 발전으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 특히 사생활이 어디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지는 객관적으로 알려야 한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