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댓글, 그리고 사라진 공론장

[김익현의 미디어 읽기] 생산적인 토론을 기대하며

데스크 칼럼입력 :2018/07/27 16:41    수정: 2018/07/28 08:11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미국 공영라디오 NPR은 지난 2014년 만우절 때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제목만 보고 댓글을 다는 독자들을 골려주는 이벤트를 하나 마련했다.

방법은 간단했다. ‘미국 사람들은 왜 더 이상 읽지 않는가?’란 도발적인 기사 본문 속에 "댓글을 달지 말아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을 담았다.

“사람들이 NPR 기사를 실제로 읽지도 않은 상태에서 댓글을 다는 것 같다”면서 "기사를 끝까지 읽은 사람은 댓글을 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그렇게 한 다음 댓글 공간에서 어떤 얘기들이 오가는지 한번 지켜보자는 게 내용의 전부였다.

결과는 편집진 예상대로였다. 제목만 읽고 발끈한 독자들이 엄청나게 많은 댓글을 쏟아냈다. 기사 본문은 제대로 읽지 않은 상태에서 댓글을 다는 독자들이 굉장히 많다는 걸 여실히 보여줬다.

NPR이 2014년 만우절 이벤트로 게재했던 기사.

NPR의 깜짝 이벤트는 한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2년 뒤인 2016년엔 똑 같은 기사를 페이스북에 또 다시 공유했다. 그러자 비슷한 현상이 또 벌어졌다. 왜 글을 읽지 못하는지 변명하는 글부터 편집진을 비판하는 내용까지 다양한 댓글들이 또 다시 올라왔다. (☞ NPR 사례 소개 기사 바로가기)

NPR이 두 차례 깜짝 이벤트를 통해 보여준 건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특히 조금 논쟁적인 제목을 단 기사일 경우 본문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엄청난 공방이 벌어지는 사례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아예 기사와는 상관없이 댓글 공간을 통해 토론이 이어지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선 기사 맥락과 상관 없는 그 토론들이 오히려 더 알찬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로 NPR 이벤트에서도 요즘 같은 모바일 시대에 읽는 행위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이 오가기도 했다.

NPR이 2년 뒤인 2016년 만우절에 같은 기사를 페이스북에 또 다시 공유했다.

오히려 NPR의 장난을 통해 “우리가 뭔가 착각하고 있는 것 아닌가?”란 철학적 성찰을 하게 됐다는 평가도 있다. 사람들은 어떤 소식을 알고 싶은 게 아니라, 그걸 매개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토론하는 걸 더 즐기는 지도 모른다는 성찰이었다. (☞ 보나마나 이 기사 아무도 안 읽을 거야)

글을 쓰는 사람들, 특히 기자들은 그런 부분에 대해선 깊이 있는 반성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알리고 싶은 정보가 아니라, 듣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갈망하는 뉴스를 전해줘야 한다는 책임감이 필요하단 얘기다. 당연한 얘기지만, 지금보다는 좀 더 적극적으로 독자들과 소통하려는 노력도 해야 한다는 또 다른 의무감도 함께 갖게 된다.

■ 의미 있는 댓글 공간, 진지한 소통의 장이 되었으면

이런 인식에도 불구하고 막상 현실 속으로 들어가면 상황은 녹록하지가 않다. 나름 꽤 공들여 쓴 기사의 댓글 공간을 (필자 보기엔) 엉뚱한 주장들이 주도해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논의는 실종된 채, 말초적인 말다툼으로 흘러가버릴 땐 아쉬운 마음이 더 커지곤 한다.

몇년 전 '혁신 사라진 아이폰7…우리는 불행한 걸까'란 칼럼을 쓴 적 있다. 아이폰7에 혁신을 찾기 힘든 건 스마트폰 시장 전체의 평균 수준이 높아진 때문이란 얘길 담은 칼럼이었다. 나름대론 새 스마트폰이 나올 때마다 통과의례처럼 제기되는 '혁신 실종'이란 비판들이 과연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담은 글이었다.

하지만 칼럼이 나가자 포털과 SNS에선 엄청난 악성 댓글이 붙었다. 의미 있는 지적들도 눈에 띄긴 했지만, 대부분은 본문과는 상관 없는 댓글들이었다. 제목만 본 뒤 글의 논조까지 규정해버린 듯한 댓글이 적지 않았다.

요즘엔 현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칼럼이 나갈 경우에 비슷한 현상이 자주 벌어진다. 제목만 보고 지레짐작해서 쓴듯한 댓글들이 적지 않게 눈에 띈다.

물론 "그러니 기사 좀 똑바로 읽으라"는 훈계조 얘길 하려는 건 아니다. 독자들이 글을 끝까지 제대로 읽도록 만드는 것도 기자의 몫이다. 독자들이 제대로 읽지 않거나, 혹은 오해했다면 그건 일차적으로 쓴 사람 책임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 뿐 아니다. NPR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설사 기사 본문과 동떨어진 얘길 하더라도, 오히려 그 속에서 더 의미 있는 정보를 얻는 경우도 적지 않다.

관련기사

하지만 즉각적인 반응 때문에 진짜 필요한 논의가 묻혀버리는 걸 볼 때는 안타까움 마음이 든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댓글 조작 같은 것들이 자리 붙이지 못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라도 좀 더 적극적인 읽기가 필요할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넋두리가 독자들에겐 또 다른 투정으로 비칠 수도 있을 것 같다. 논쟁거리를 담고 있는 칼럼을 독자들이 좀 더 진지하게 읽어줬으면 좋겠다고 하는 것도 과한 바람일 수도 있다. 이런 투정이 한 단계 더 들어간 깊이 있는 토론의 시발점이 되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에서 나온 것이란 사실을 독자들이 이해해줬으면 좋겠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