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경 의원(자유한국당)은 챗봇과 같은 대화형정보처리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명확하게 표시 하도록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고 1일 밝혔다.
챗봇은 인간과 대화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한다. 이용자가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체의 질문을 입력하면 챗봇이 적합한 결과를 문자나 음성으로 되돌려 준다.
챗봇 시스템은 검색엔진 등 기존의 단방향적 정보 제공방식과는 달리 이용자와 챗봇이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에 도달하는 특징이 있다.
이미 국내외에서는 정보 제공과 민원처리뿐만 아니라 일정관리,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챗봇이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음성인식 기술 등 다양한 융합기술을 접목하거나 단순 정보제공 기능을 뛰어 넘어 인간의 감정까지 분석하는 챗봇 시스템이 등장 하는 등 관련 기술이 고도화되며 서비스도 다양화 되고 있다.
하지만 부작용도 크다. 특히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정보통신서비스가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임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용자가 대화의 상대방을 챗봇이 아닌 실제 사람으로 착각하는 등 소비자가 챗봇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용자가 챗봇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상대방이 사람인 줄 알고 대화를 하다가 나중에 사람이 아닌 것으로 밝혀질 경우 서비스 제공 주체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도 있다.
송희경 의원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대화형정보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사실을 표시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 일반인도 챗봇 구축할 수 있는 빌더 제공2018.07.01
- 4대 은행 챗봇에 4가지 질문 던져봤더니...2018.07.01
- “잘 둔 챗봇 하나, 열 직원 안 부럽네”2018.07.01
- “AI 챗봇 마케팅, 와이즈넛이 도와드려요”2018.07.01
송 의원은 “인공지능 기술 등 융합 기술을 접목한 챗봇 시스템의 기술이 지속적으로 고도화 되면서 이용자의 정보접근성을 높여주는 서비스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면서 “아직은 챗봇 서비스 산업이 도약기를 지나고 있는 만큼, 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법안을 발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챗봇산업이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불식 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