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태양전지 수명 연장 원리 규명

서울대 공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화 원인 발견

과학입력 :2018/04/23 10:22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원리를 국내 연구팀이 발견했다.

서울대 공대는 이창희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이현호 박사과정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주요 열화 원인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22.7% 수준의 높은 광-전력 변환 효율을 내고 있어서 차세대 태양광 발전소자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높은 효율에 반해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용화된 태양전지들에 비해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때문에 많은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흡광층의 구성 성분을 조절하는 방법 등으로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고자 했지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창희 교수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화의 근본적인 원인부터 접근했다. 일정 시간 동안 열화된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전극을 제거하고 새로운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재생 방식으로 열화 원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의 구성 성분인 요오드 이온이 분해돼 확산과정을 거쳐 전극 아래에 축적되고, 전자수송층인 플러렌 분자와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에서 빠져나온 요오드 이온이 전극 계면에 축적되면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키는 과정.

열화된 전극을 제거하면 전극과 전자수송층 사이에 축적된 요오드 이온들도 상당 부분 제거된다. 연구팀은 새로운 전극을 형성하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이 회복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에서의 요오드 이온의 확산과 전자수송층, 전극 계면에서의 축적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화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밝혀낸 것이다.

이창희 교수는 “이번 연구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냈다”며 “소자의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전문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4월 17일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