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소프트, 미국법인 '파일링클라우드' 설립

웜스토리지 기반 랜섬웨어 예방솔루션 글로벌 확산 구상

컴퓨팅입력 :2018/04/19 11:33

나무소프트(대표 우종현)는 미국법인 '파일링클라우드(FilingCloud LLC)'를 설립하고 랜섬웨어 예방 솔루션 '파일링박스'의 글로벌 확산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나무소프트는 하이브리드 웜(WORM) 디스크 기술을 개발했다. 하이브리드 웜 디스크는 평상시에는 웜디스크로 동작하지만 상황에 따라 데이터 수정이 가능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디스크를 의미한다. 이 기술이 나무소프트 파일링박스 솔루션에 탑재돼 있다. 파일링박스는 관련 특허등록을 마치고 굿소프트웨어(GS) 인증 1등급을 획득했으며, 나라장터 조달품목으로 등록돼 공공기관에 공급 가능한 제품이다.

WORM은 파일을 한 번만 생성할 수 있고 이후 그 내용을 수정이나 삭제 없이 읽기만 가능한 특성(write Once Read Many)을 뜻하는 용어다. 이 특성을 갖춘 디스크를 사용하면 컴퓨터를 감염시켜 저장된 데이터나 그 시스템을 못쓰게 망가뜨리는 랜섬웨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나무소프트 랜섬웨어 피해방지 솔루션 파일링박스 로고

나무소프트는 하이브리드 웜 디스크 기술을 탑재한 파일링박스 솔루션을 PC 및 서버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PC용은 윈도 탐색기를 통해 접근했을때만 파일을 수정할 수 있게 개발된 제품이다. 서버용은 서버 관리자가 읽기 및 쓰기 전용 모드, 읽고 쓰기와 수정 및 삭제가 모두 가능한 모드를 전환해 쓸 수 있는 제품이다.

나무소프트 측은 이가운데 서버용 파일링박스 제품이 북미 시장에서 최근 주목받아 현지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 일환으로 미국 보스턴에 현지법인 파일링클라우드를 설립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서비스 이용자에게 증빙서류같은 파일을 접수받아야 하는 통신사와 기관 측으로부터 문의를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우종현 나무소프트 대표는 "현재 미국을 비롯한 북미 시장의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과 협력 및 도입을 논의 중에 있으며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무소프트는 2000년 설립됐다. 자산운용사 중심으로 금융권 시스템,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사업을 벌여 왔다. 랜섬웨어 차단 파일관리솔루션 파일링박스는 경찰청, SK텔레콤, KB국민은행, NH투자증권, 광주북구청 등에 공급됐다. 이밖에 회사는 OTP를 이용한 상호인증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개발해 KT와 러시(LUSH) 등 기업과 오키(OKKY), 케이머그(KMUG) 등 커뮤니티사이트에 공급하기도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