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내년 전기·자율차 R&D 예산 250억원 증액

자율주행 실현, 전기차 35만대 보급 달성 차원

카테크입력 :2017/12/26 11:00

산업통상자원부가 고속도로 자율주행, 전기차 35만대 보급 달성을 위해 관련 R&D 예산을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발표한 ‘2018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에서 전기·자율주행차 분야, IoT 가전 분야, 에너지 신산업 분야, 바이오·헬스 분야,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등 5대 신산업 분야(R&D) 선도 프로젝트 예산 증액 수치를 공개했다.

내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분야 예산의 경우 경우, 전년 대비 250억원 증액된 1천491억원이 편성됐다.

산업부는 이 예산으로 오는 2020년 고속도로에서의 자율주행을 실현하고, 2022년까지 전기차 보급 35만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국토교통부가 지정해준 도로에서만 완전 자율주행을 할 수 있는 시범운영 제도가 마련됐다. 여기에 삼성전자, 현대차, 현대모비스, 서울대, 쌍용차 등 업계 및 학계가 참여하고 있다.

2017 서울모터쇼 내부에 설치된 현대차 간이 슬라럼 코스를 통과중인 아이오닉 일렉트릭 자율주행차 (사진=지디넷코리아)

현대자동차는 내년 평창올림픽 개최에 맞춰 고속도로 구간을 완전 자율주행 할 수 있는 SUV 타입의 수소연료전지차와 제네시스 G80 차량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후 자동 차선 변경기능을 지원하는 ‘HDA2' 시스템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HDA는 현재 현대차 그랜저, 기아차 스팅어, 기아차 K7, 제네시스 브랜드 전 차종에 적용한 사양으로 ’고속도로 주행보조 시스템‘을 뜻한다.

산업부의 전기차 35만대 보급 계획은 지난 18일에 발표된 바 있다.

산업부는 당시 오는 2021년까지 자율주행차 9대 핵심 부품기술 개발을 위해 1천445억원을 투입하며, 자율주행차와 IoT 가전 등 4차산업혁명 선도 분야 투자 확대를 위해 내년까지 3천억원 규모의 민관 공동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전했다.

현대모비스의 자율주행 쏘나타는 사람의 눈과 손, 발을 대신할 수 있도록 차량 앞·뒤·측면에는 레이더 5개와 전방 카메라 1개, 제어장치(MicroAutobox)가 장착됐다. (사진

■산업기술 R&D 총 예산 3조1천580억원 지원

내년 산업기술 R&D 총 예산은 전년 대비 약 1.3% 감소한 3조1천580억원으로 책정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R&D 예산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미래 신산업과 주력산업 지능화 등 혁신성장을 위한 중점투자 분야 예산을 2017년 1조5천507억원에서 2018년 1조6천624억원으로 증액 편성했다”고 밝혔다.

혁신성장 중점투자 분야 예산에서 ‘5대 신산업 분야 R&D' 관련 예산은 2017년보다 1천22억원 증액된 9천193억원으로 편성됐다.

관련기사

해당 예산은 전기·자율주행차 1천491억원을 포함해 IoT 가전(스마트홈) 816억원, 에너지신산업 4천175억원, 바이오·헬스 1천992억원, 반도체·디스플레이 720억원으로 나눠 편성됐다. 이는 산업부 R&D 총 예산의 29.1%를 차지한다.

산업부는 내년 1월 중 부처 합동설명회를 통해 서울, 대전, 광주, 부산 등에서 ‘2018년 산업기술 R&D 사업 시행계획’을 알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