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주로 산업적 측면에서 활용됐던 3D 프린팅을 생활 속으로 확산하는 방향이 추진된다. 교육과 중소기업 분야 등 생활저변에서 이용하는 것과 함께 3D 프린팅 문화를 확산시킨다는 목적이다.
이를 통해 창의문화를 넓히고 중소기업의 제조 경쟁력을 강화한다. 또 신시장 창출을 통한 국내 보급형 3D 프린팅 제품의 주도권을 확보한다.
정부는 14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9회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정보통신 분야 주요 정책 5건을 심의하고 확정했다.
그 동안 정부는 2014년부터 기술개발, 3D프린팅 지역센터 구축,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제정 등 산업기반 조성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학교, 중소기업 등의 활용률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학교 내 교육 현장에서 3D 프린팅 활용률은 8%, 중소기업의 3D프린팅 활용률은 6% 수준에 머물러 있다.
3D 프린팅 기반의 교육은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다는 기대가 컸지만, 전문 전담인력과 교수 학습자료가 부족했다. 고가의 장비도 문제가 됐다. 중소기업의 3D 프린팅 활용 역시 구매비용 부담, 전문인력 부족, 장비에 따른 낮은 품질 등의 걸림돌이 많았다.
정부는 이에 따라 3D 프린팅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집중하고, 중소기업의 활용도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 학교에서 3D 프린팅 먼저 배운다
우선 3D 프린팅의 학교 교육을 위해 시도 교육청과 함께 3D 프린팅 교육 장비 보급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서울과 부산 교육청 등의 메이커 교육, SW선도학교, 직업 체험 학교 중심으로 우선 보급한다. 교사역량 교육, 교육지도안 제작도 지원해 교육 활용도와 효과성 검증을 거쳐 전체 학교로 점차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과학이나 기술 등의 교과목과 연계한 3D프린팅 교육 지도안과 보조교재도 제작해 보급한다.
소프트웨어(SW) 교육으로 활용하는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3D 프린팅을 활용해 SW교육을 재미있게 교육하고 기술, 과학, 역사 등 교과목의 학습 이해력을 높일 수도 있다.
박태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3D 프린팅을 SW 교육에 접목하면 3D 모델링으로 출력하는 방식이 유용하다”면서 “디자인 교육 면에서도 실제 중고교에서 디자인을 할 때 결과물을 출력하는 부분에 많이 쓰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 중소기업, 3D 프린팅 제대로 쓴다
중소기업의 3D 프린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바우처 제도를 도입한다. 중소기업의 3D 프린팅 활용 분야는 단연 시제품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인다.
이 때 시제품 제작 비용의 일부를 3D 프린팅 출력 서비스 전문기업을 통해 지원하는 식의 바우처 제도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과기정통부와 중소기업벤처부가 협업 추진에 따라 진행된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책도 나온다. 가구, 완구, 귀금속 등 생활 밀착협 업종에서 3D 프린팅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이에 업종별 혁신모델 발굴 사업을 추진하고 업종 특화형 SW 개발도 추진한다.
보급형 3D 프린터의 출력품질이나 성능을 고려해 기술검증도 실시한다.
이밖에 생활 친화형 소재의 다양한 제품 활용사례를 발굴해 수요확산 정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보급형 3D 프린터의 유해물질 저감장치 개발과 안전이용 가이드 제작도 병행된다.
■ 3D 프린팅, 메이커 문화로 확산
3D 프린팅이 생활 저변에 닿기 위한 문화로서 접근하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정부는 민간 메이커에 대한 장비활용 지원과 3D프린팅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인력에 대한 전문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전국 교육기관, 학교 등에서 교육을 지도할 전문 강사인력을 양성하고 내년에는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와 같은 국가자격제도를 시행한다.
온오프라인 커뮤니티의 3D모델링 파일 출력물 제작 공유나 소그룹 활동 등 관련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관련기사
- 4차산업혁명…왜 3D 프린터가 주목받나2017.12.14
- 3D프린팅, 가능성과 한계를 알자2017.12.14
- 3D프린팅-스마트 네트워크의 빛과 그림자2017.12.14
- 3D 프린팅, IT주류가 되기위한 조건2017.12.14
이밖에 3D 프린팅 설계도면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해 일반인의 활용능력을 높이고 청소년이나 군인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도 추진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3D 프린팅을 학교교육과 연계하고 중소기업의 활용 촉진하며 테크메이커와 일반인 등의 3D프린팅 활용이 확산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면서 “이와 같은 저변 확대를 통해 창의문화를 확산하고 중기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신시장 창출을 통한 국내 보급형 3D 프린팅 제품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