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비소프트 차량용 커머스 플랫폼 개발에 국가R&D 지원

"커넥티드카 시장 대응 탄력…내년 플랫폼 시제품 출시 후 파트너와 사업 출범"

컴퓨팅입력 :2017/11/15 10:19

투비소프트가 개발 중인 커넥티드카 커머스 플랫폼이 ‘2017 월드클래스 300(WC300) 연구개발(R&D)’ 국책 과제로 선정돼 앞으로 4년간 국가 R&D 자금을 지원받게 됐다.

15일 투비소프트는 자사 커넥티드카 커머스 플랫폼이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이 주관하는 WC300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WC300 R&D 지원사업은 정부가 세계적 기업 육성을 목표로 선정한 기업에 국가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커넥티드카는 자동차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양방향 인터넷 서비스 등이 가능한 차량을 가리킨다. 커넥티드카 커머스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운전자는 주유소, 주차시설, 드라이브스루(Drive thru) 등을 이용할 때 별도 결제과정 없이도 차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투비소프트 로고

투비소프트는 WC300 국책과제 선정이 커넥티드카 시장 확대에 따른 커머스 플랫폼의 필요성과 회사의 기술 개발 능력, 개발 기대 효과를 인정 받은 결과라고 강조했다.

투비소프트 커넥티드카 커머스 플랫폼 개발은 차량번호, IC칩, 이중요소인증 기반의 안전결제용 보안과 운전자 제스처 인터페이스 기반 영상인식 기술 구현에 초점을 맞춘 사업이다. 투비소프트는 내년 이 플랫폼 시제품을 출시하고 AMAX 등 파트너와 사업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관련기사

산업연구원이 지난 5월 발표한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확산과 발전 전략’ 보고서는 오는 2019년 커넥티드카 관련 시장 규모는 112조원에 달하고 2020년 전체 차량의 과반(55%)이 커넥티드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담았다.

투비소프트 조문옥 상무는 "커넥티드카 시장 확대에 대비해 차량 인증부터 주문, 결제 전 과정에 있어 보안성과 운전자 편의성을 강화한 통합 커머스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며 "기존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하드웨어 융합 사업 구조로 고도화해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