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ICT로 미세먼지 해결 마중물 역할 맡겠다”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방송/통신입력 :2017/09/20 13:37

KT가 ICT 기술로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지원한다.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를 통해 대국민 관심사인 미세먼지 위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공헌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현재 정부는 300여개의 측정소에서 미세먼지를 시간 단위로 관측하고 분석하고 있다.

KT는 이에 통신주, 기지국, 공중전화부스, 통신국사 등 500만개의 자체 보유 ICT 인프라를 미세먼지 측정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대가 없이 자사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 미세먼지 측정도 시간 단위가 아닌 실시간으로 할 수 있도록 했다.

우선 이같은 사회공헌활동에 100억원의 예산 비용을 마련하고, 내년 1분기까지 서울과 6대 광역시 주요 거점에 1천500개의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를 마치고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예정이다.

이후 정부와 추가 협의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소를 늘리고 빅데이터 분석 값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형욱 KT 플랫폼사업기획실장.

다음은 김형욱 KT 플랫폼사업기획실장과 일문일답.

- 정부에 제공하는 데이터를 국민에게 개방하는 것은 어떤 방식이고 언제부터 가능한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는 실시간 미세먼지 측정 정보다. 우선 국민에 개방하지 않는 이유는 측정치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정해지지 않다. 세밀하게 측정소를 설치한 뒤 나온 정보를 정부에 제공하고 향후 국민에 개방할 계획이다.”(김형욱 전무)

“1천500개 측정망 설치는 내년 1분기 내에 완료할 계획이다. 데이터가 쌓이면 이 데이터 값에 대한 컨센서스를 거친 뒤 공유할 예정이다.”(김준근 기가IoT사업단장)

- 중앙정부와 협의한 내용의 수준은?

“정부화 협의중인 부분은 해야할 일이 많다. 지금 당장은 시작 단계라 말할 수 있고 중앙정부, 지자체 문제가 아니라 교육청이든 측정할 수 있는 장소가 우선 협의할 수 있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KT가 일단 (장고 제공 계획을) 내놓고 할 수 있도록 하겠다.

그런 다음에 정보 수집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감염병 추적이나 심야버스 등에서 빅데이터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갖췄다. 정부 정책 설정에 이같은 빅데이터 기술 지원하겠다는 뜻이다.”

- 정부의 측정기와 신뢰도를 비교 했을 때 신뢰성 효과 검증 어떻게 하나.

“제주도에서 시범적으로 공기질 측정을 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특징을 보면 국가 장비 옆에 우리 측정기를 같이 비교하고 검증하고 있는 단계다. 내부적으로 신뢰도 검증을 하고 있고 한편으로 중앙정부에서 측정 가이드라인이 배포될 예정으로 알고 있는데, 시험 가이드 기준에 맞게 검증 거쳐 신뢰도가 높은 측정기 설치를 준비하겠다.”(이광욱 IoT사업전략담당 상무)

- 정부 측정기 300여개는 고가라고 했는데 KT 설치 장비도 그렇게 비싼가?

“정부 장비 수준에 맞추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사이즈도 크다. 그런 것을 하기엔 어렵고 정부 측정기와는 다르지만 소형 측정기 설치를 생각하고 있다. 측정값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보정하면서 값을 맞춰나갈 수 있다.”

- KT의 사업에 정부 예산이 들어갈 것 같다. 예산 협의가 돼있나.

“예산은 우리가 협의할 수준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먼저 1천500개 측정기를 시작하고, 지자체나 교육청에서 미세먼지 측정을 하려는 움직임 있는데 결국 미세먼지 문제에 관심 갖고 몇 만개가 될지 몰라도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 KT가 분석한 빅데이터 분석 보조 자료 제공은 협의가 된 것인가, 또 간이측정기의 수치는 현행법상 공개 못하는 것으로 아는데 공신력 데이터 협의도 하고 있는가.

“정부 하고 모든 것을 협의해 확정돼서 하는게 아니다. 미세먼지는 온 국민의 관심사인 만큼, KT가 가지고 있는 기술과 인프라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작하는 트리거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공익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중앙정부에 기본적인 말씀은 드렸고 컨센서스 어느 정도는 있다. 외부 측정기에 대한 부분이 얼마나 촘촘하게 할 것인지 얼마나 품질 신뢰도가 있을지 여러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먼저 시범서비스 측정소를 깔면서 마중물 역할을 하려고 한다.”(이광욱 상무)

관련기사

-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KT 국사를 쓰겠다고 요구하면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것인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 정부에서 측정소를 놓을 곳이 필요하다고 하면 제공하겠다는 것이다.”